Publications

인구변동과 지속 가능한 발전 : 저출산의 경제·사회·문화·정치적 맥락에 관한 종합적 이해와 개혁 과제 (심층보고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우해봉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uthor장인수
dc.contributor.author강성호
dc.contributor.author김근태
dc.contributor.author김안국
dc.contributor.author김정호
dc.contributor.author독고순
dc.contributor.author박시내
dc.contributor.author유삼현
dc.contributor.author유희원
dc.contributor.author윤영모
dc.contributor.author이용하
dc.contributor.author전병목
dc.contributor.author최창욱
dc.contributor.author황준성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ntributor.author이병호
dc.contributor.author계봉오
dc.contributor.author김현식
dc.contributor.author송봉근
dc.contributor.author손호성
dc.contributor.author김형아
dc.contributor.author장아름
dc.date.accessioned2021-02-26T03:54:14Z
dc.date.available2021-02-26T03:54:14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13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인구변동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동향 그리고 특징 제1절 인구변천의 이해: 이론적 논의와 역사적 전개 3 제2절 한국의 인구변천 43 제3절 저출산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 79 참고문헌 114 제2장 출산과 행복 제1절 서론 129 제2절 이론적 배경 132 제3절 자료 및 연구 방법 141 제4절 분석결과 145 제5절 논의 및 결론 160 참고문헌 163 제3장 결혼이주와 출산 제1절 서론 169 제2절 결혼이주(marriage migration) 현황과 특성 171 제3절 결혼이주여성의 출산력 178 제4절 결혼이주와 사회통합 188 제5절 요약 및 결론 197 참고문헌 200 제4장 혼인-출산의 생애과정 변동 제1절 생애과정 접근 205 제2절 생애과정별 특성 209 제3절 생애과정의 변동 216 제4절 생애과정 변동이 저출산에 갖는 함의 237 참고문헌 240 제5장 인구변동과 아동청소년정책 제1절 서론 243 제2절 아동·청소년·청년 인구변화와 특성 247 제3절 국내·외 저출산 관련 아동·청소년·청년 정책 연구 동향 258 제4절 인구변화와 아동·청소년·청년 정책방향과 과제 268 참고문헌 280 제6장 인구변동과 여성 인적자원 제1절 서론 285 제2절 여성 노동시장 참여 현황 286 제3절 여성 노동공급 변화의 파급효과 293 제4절 여성 노동공급 결정 요인과 정책 목표 302 제5절 개혁 과제 306 제6절 결론 321 참고문헌 325 제7장 인구변동과 교육정책 제1절 서론: 인구변동과 교육의 관련성 329 제2절 현황 331 제3절 저출산 등 인구변동의 원인 완화를 위한 교육정책 342 제4절 인구변동에 따른 사후적 적응을 위한 교육 분야 개혁 과제 353 제5절 결론: 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로서 인구변동과 교육 382 참고문헌 384 제8장 인구 고령화와 평생교육 제1절 서론 393 제2절 경력 커브의 미래 변화 398 제3절 디지털 변환 시대의 고령화 문제 404 제4절 고령자의 평생학습 필요와 그 실태 409 제5절 결론: 중고령자 친화적 평생교육 시스템 414 참고문헌 422 제9장 인구변동과 지역정책 제1절 서론 427 제2절 인구 전망과 지역적 영향 429 제3절 우리나라의 인구정책 현황 440 제4절 인구변화에 대응한 해외 지역정책 사례 449 제5절 인구변화 대응을 위한 지역정책과제 471 참고문헌 482 제10장 인구변동과 국방정책 제1절 연구 개요 487 제2절 저출산에 대한 국방 분야 인식과 대응 노력 489 제3절 저출산 사회에서 외국 군의 주요 관련 동향 498 제4절 병력자원 감소에 따른 병력 규모 논의와 여건 전망 506 제5절 병력자원 감소에 대응하는 국방 분야 개혁과제 515 참고문헌 529 제11장 인구 고령화와 노후소득보장제도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533 제2절 인구변화와 노후소득보장제도 536 제3절 인구위기와 연금개혁 544 제4절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553 제5절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개편 방안 576 참고문헌 584 제12장 인구 고령화와 사회보장재정 제1절 서론 591 제2절 주요국의 인구구조 변화 593 제3절 주요국의 공공사회지출 597 제4절 사회보장제도의 재정 현황 604 제5절 고령화와 사회보장 장기재정전망 623 제6절 정책적 시사점 638 참고문헌 641 부록 643 제13장 저출산 대응 정책 평가의 쟁점과 과제 제1절 들어가며 647 제2절 저출산 대응 정책 평가의 쟁점 648 제3절 저출산 대응 정책 평가 관련 정책 방향 655 제4절 저출산 대응 정책 평가의 과제 665 참고문헌 669 제14장 저출산 대응 정책 평가의 규범적 기준과 응용 제1절 서론 673 제2절 규범적 기준 1: 정책 문제의 인과적 원인 타기팅 675 제3절 규범적 기준 2: 능률성 기준 719 제4절 정책적 함의 및 결론 740 참고문헌 744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5
dc.languagekor
dc.publisher경제⋅인문사회연구회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title인구변동과 지속 가능한 발전 : 저출산의 경제·사회·문화·정치적 맥락에 관한 종합적 이해와 개혁 과제 (심층보고서)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인구변동
dc.subject.keyword인구정책
dc.subject.keyword정책 거버넌스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urlhttps://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06052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21-01 (심층보고서)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1-02-26T03:54:14Z
dc.date.datesubmitted2021-02-26T03:54:14Z
dc.type.research정책
dc.type.nkis수탁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A
dc.subject.nkisMiddleA1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주제 분류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