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Research on establishing basic directions for each area of youth policy

Title
Research on establishing basic directions for each area of youth policy
Author(s)

이철선 ; 하은솔 ; 이상림

Keyword
youth policy ; the basic youth act ; the first youth policy basic plan
Publication Year
2020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2020년 2월 대한민국 국회는 청년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청년기본법은 ‘청년들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실현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권리와 책임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기 위한’ 법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기본법에 명시된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정책적 방향수립에 기여하고자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의 5대 청년정책 영역에서 정책 대상자인 청년들이 요구하는 정책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의 방향이 기존 정책과 비교하여 어떤 차별성을 가져야 하며, 청년정책의 방향이 전환된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에 집중해야 하는지, 그리고 청년정책을 지속적으로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연구의 개관 9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13
제3절 연구 방법 16
제2장 청년기본법 제정과 정책적 고려 요인 19
제1절 분석 개요 21
제2절 청년기본법 제정과 정책적 고려 요인 22
제3장 기존 청년정책의 현황과 특징 33
제1절 분석 개요 35
제2절 기존 청년정책의 현황 40
제3절 기존 청년정책의 특징 65
제4장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청년의 욕구 파악 79
제1절 분석 개요 81
제2절 청년정책 욕구 조사의 정책 영역별 분석 결과 89
제3절 청년정책 방향설정을 위한 중요도 Matrix 분석 99
제5장 청년정책의 영역별 정책방향과 평가관리체계 개선 117
제1절 분석 개요 119
제2절 청년정책의 영역별 기초방향 설정 122
제3절 청년정책의 평가관리 체계 개선 137
제6장 향후 과제와 연구의 한계점 147
제1절 연구의 시사점 149
제2절 연구의 한계점 152
참고문헌 157
부록 159
[부록 1] 정부의 청년정책에 대한 욕구조사 159
Local ID
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0-03
ISBN
9788968276972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Social service > General social service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