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f Plans for an Innovative Inclusive State: Employment Policies

제목
A Study of Plans for an Innovative Inclusive State: Employment Policies
저자

이장원 ; 김동배 ; 박정열 ; 김동헌

키워드
innovative inclusive state ; flexicurity ; workplace innovations ;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 human new deal ; human competencies ; social dialogue
발행연도
2020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혁신적 포용국가를 실현하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제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이슈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이지만 이를 노동 분야로 한정해서 접근하려면 결국 오래된 쟁점이자 정책적 딜레마인 유연성과 안정성 간의 결합 또는 조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즉 유연안정성(flexicurity)을 실현하는 방안이 핵심적 이슈이다. 바로 일치하지는 않지만, 유연성의 확보는 대부분 혁신적 관점의 영역이고 안정성의 추구는 포용성의 확장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기업수준의 유연안정적 고용관계 7
제1절 서론 9
제2절 선행연구 11
제3절 한국기업의 유연성 실태 분석 16
제4절 기업 수준 유연안정성 사례 28
제5절 정책 함의 31

제3장 일터혁신이 기업의 유연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35
제1절 기업 단위 유연안정성과 일터혁신 37
제2절 일터혁신 컨설팅 사례 연구 42
제3절 시사점 및 개선과제 73

제4장 적극적 노동 시장정책의 평가와 과제 77
제1절 적극적 노동 시장정책의 국제비교 79
제2절 보편적 고용 안전망 시대의 활성화 전략 89
제3절 정책적 시사점 및 과제 97

제5장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고용혁신 방안 근로자 조사 99
제1절 조사개요 101
제2절 주요 결과 요약 104
제3절 심층면접의 시사점 113

제6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 포용국가를 위한 노동정책 방향 115
제1절 코로나19 이후 노동의 미래 117
제2절 코로나19 이후의 노동시장 상황과 문제 121
제3절 향후 과제와 정책방향 122
■부록 125
■참고문헌 127
보고서 번호
정책보고서 2020-20-3
Fulltext
https://www.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05291
KIHASA 주제 분류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Income protection > Welfare-to-work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2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