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현수 |
dc.contributor.author | 박아연 |
dc.contributor.author | 오미애 |
dc.contributor.author | 진재현 |
dc.contributor.author | 천미경 |
dc.contributor.author | 전지수 |
dc.date.accessioned | 2020-10-14T08:42:05Z |
dc.date.available | 2020-10-14T08:42:05Z |
dc.date.issued | 201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446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현행 각종 복지제도의 수급가구 및 가구원을 대상으로 구축된 소득재산 공적 행정자료의 한계를 고려하여 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공적 행정데이터를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행정데이터 또는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아동수당 신청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전체 가구와 영유아 가구 소득재산 수준 및 소득인정액 분포를 추정하여 선정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함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1장 아동수당 선정기준 연구 필요성 및 개요 1 제2장 아동수당 선정기준 및 자산조사 운영체계 15 제3장 아동수당 2018년 선정기준 및 수급대상 분포 예측 분석결과 31 제4장 아동수당 신청 및 수급대상 선정 현황 53 제5장 아동수당 2019년 선정기준(안) 추정 결과 59 <부 록> 부록 1 아동수당 자산조사 간소화 관련 자동판정 적용 모의분석: 전월세거래정보 없는 가구에 대한 조사자동화 65 부록 2 아동수당 선정기준 도출방식에 따른 수급대상 분포 예측 비교 분석 결과 (공제 미적용 시) 75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8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아동수당 소득재산 조사방법 및 선정기준 도출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1900208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8-98 |
dc.citation.date | 2018 |
dc.date.dateaccepted | 2020-10-14T08:42:05Z |
dc.date.datesubmitted | 2020-10-14T08:42:05Z |
dc.type.research | 정책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subject.kihasa | 사회수당 |
dc.subject.kihasa | 아동복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