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형선 |
dc.contributor.author | 신정우 |
dc.contributor.author | 문성웅 |
dc.contributor.author | 김경훈 |
dc.contributor.author | 고금지 |
dc.contributor.author | 신지영 |
dc.contributor.author | 조수경 |
dc.contributor.author | 민하주 |
dc.contributor.author | 김희년 |
dc.contributor.author | 권영근 |
dc.contributor.author | 김경창 |
dc.contributor.author | 김태민 |
dc.date.accessioned | 2020-10-12T06:21:36Z |
dc.date.available | 2020-10-12T06:21:36Z |
dc.date.issued | 201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6396 |
dc.description.abstract | 본 통계는 통계법 제18조에 의한 승인통계(국민보건계정, 승인번호 제117068호)이며, 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의료비(1970년-2016년)의 지출 규모를 작성한 것입니다. (승인통계 명칭 변경(2016.6.30.): 국민의료비추계 및 국민보건계정 → 국민보건계정) · 국제기준인 「SHA2011 (System of Health Accounts 2011)」 매뉴얼에 따라 최종 소비 단계에서 지불한 의료비용의 총 규모를 기능별 분류(Classification of Health Care Functions: ICHA-HC), 공급자별 분류(Classifica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ICHA-HP), 재원별 분류(Classification of Health Care Financing Schemes: ICHA-HF)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 기능별 분류는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별(type of services)로 지출액을 구분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의료비와 집합보건의료비(예방서비스, 거버넌스․보건체계․재정관리)로 구성됩니다. 개인의료비는 다시 생산양식(mode of production)에 따라 입원, 외래, 의약품 등으로 구분됩니다. - 공급자별 분류는 어떤 공급자에게 의료비가 지출이 되어 들어가는지를 구분하는 것으로, 병원, 거주형장기요양시설, 통원보건의료제공자(의원, 치과의원, 통원보건의료센터 등), 보조서비스제공자, 의료재화소매상·기타제공자(약국 등), 예방서비스제공자, 보건의료체계관리/재원제공자(정부보건행정기관, 사회건강보험기관, 민간건강보험관리조직 등), 국내기타부문, 해외부문으로 구성됩니다. - 재원별 분류는 공급자에게 지불하는 단계에서 어떤 재원으로부터 돈이 나오는지를 보는 것으로, 정부·의무가입제도[정부, 의무가입(건강)보험], 임의가입제도(임의가입건강보험, 비영리단체, 기업), 가계직접부담, 해외부문으로 구성됩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이용자를 위하여 1 그림으로 보는 경상의료비 3 요 약 9 제1장 개 관 15 제1절 국민보건계정 17 제2절 (총)경상의료비 27 제2장 국민보건계정의 구축방법 31 제1절 개인의료비 33 제2절 집합보건의료비 46 제3장 경상의료비의 추계결과 53 제1절 2016년 경상의료비의 규모 및 구성 55 제2절 경상의료비의 추이 58 제4장 2016년 국민보건계정 교차테이블 73 제5장 2000-2016 연도별 교차테이블 83 참고문헌 193 부 록 201 부록 1. 경상의료비 지출 규모 203 부록 2. OECD 국가의 의료비 통계 207 부록 3. 용어해설 221 부록 4. 2017년(잠정치) 경상의료비의 규모 및 구성 239 부록 5. 상병별연령별성별 보건계정 251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28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
dc.publisher | 국민건강보험공단 |
dc.publisher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2016년 국민보건계정 |
dc.title.alternative | Korean National Health Accounts in 2016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1700064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17-99 |
dc.citation.date | 2017 |
dc.citation.date | 2017 |
dc.date.dateaccepted | 2020-10-12T06:21:36Z |
dc.date.datesubmitted | 2020-10-12T06:21:36Z |
dc.type.research | 정책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재정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서비스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