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18」은 2013년도부터 시작된 사회보장통계 연구의 여섯 번째 결과로, 국가 승인통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태조사 결과 및 행정통계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정부의 다양한 사회보장정책 추진성과와 우리의 복지수준을 이해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2018년 사회보장통계는 13개 분야 51개 세부 영역에 159개의 대표 지표를 포함하여 총 260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저출산·고령화와 가족구조 등 정책 환경 변화와 정책 현안,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국민의 관심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추진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향후 '혁신적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다양한 사회정책 추진을 통해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수주의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미래의 사회보장통계에 반영되어 나타날 수 있을 것입니다.
Table Of Contents
분야별 목차
인포그래픽 014 사회배경 034
1. 가족 048 2. 아동 078 3. 노인 116 4. 장애인 136 5. 근로 176 6. 소득보장과 빈곤 208 7. 건강 240 8. 보육 및 교육 306 9. 문화 336 10. 주거 362 11. 에너지 390 12. 환경 406 13. 사회개정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