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일 |
dc.contributor.author | 최혜진 |
dc.date.accessioned | 2020-06-10T01:03:00Z |
dc.date.available | 2020-06-10T01:03:00Z |
dc.date.issued | 2019-03-31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5452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OECD 국가 간 비교와 노인실태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장기요양 서비스의 보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돌봄 욕구가 있는 노인들의 자발적인 신청여부와 사적 돌봄의 충분성을 기준으로 사각지대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 정의에 따른 사각지대 규모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노인실태조사의 대표성 부족 문제를 보정한 추정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OECD 국가 간 비교를 통해 한국 장기요양 서비스의 대상자 포괄성과 급여 충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가 간 비교 분석결과와 미시자료 분석결과를 결합하여, 다른 국가와 비교되는 한국의 장기요양 서비스의 특성을 도출하고 해석하였다. 아울러 이런 작업을 통하여 장기요양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dc.format.extent | 3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사회정책학회 |
dc.title | 장기요양 서비스의 보장성 분석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Academic) |
dc.subject.keyword | 장기요양서비스 |
dc.subject.keyword | 보장성 |
dc.subject.keyword | 사각지대 |
dc.subject.keyword | 포괄성 |
dc.subject.keyword | 노인실태조사 |
dc.identifier.doi | 10.17000/kspr.26.1.201903.174 |
dc.identifier.url | https://doi.org/10.17000/kspr.26.1.201903.174 |
dc.identifier.localId | KIHASA-3804 |
dc.citation.title | 한국사회정책 |
dc.citation.volume | 26 |
dc.citation.number | 1 |
dc.citation.date | 2019 |
dc.citation.startPage | 173 |
dc.citation.endPage | 202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사회정책, vol. 26, no. 1, pp. 173 - 202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