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nalysis and Outlook of Korea’s Long-term Trends in Lowest-low Fertility

Title
Analysis and Outlook of Korea’s Long-term Trends in Lowest-low Fertility
Author(s)

신윤정 ; 이명진 ; 박신아

Keyword
저출산 ; 합계출산율 ; 출산 진도비 ; 분해와 표준화
Publication Year
2019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본 연구는 초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경제적 계층별 출산율을 분석하여 국내 초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출산율 회복을 위한 정책 방안을 강구하였다. 출산율 추이를 코호트(cohort)와 기간(calendar year)의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하고 학력 수준, 취업 상태, 직업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통계청의 인구센서스와 인구동향조사 출생 자료를 활용하였다.

과거에는 학력 수준이 낮고 직업적 지위가 낮은 집단에서 높은 출산율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학력 수준이 높고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집단에서 더 높은 출산율이 관찰되었다. 취업 여성의 출산율은 과거보다 상승하였지만, 비취업 여성과 비교해 볼 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보편적으로 확대된 자녀 양육 지원 정책에서 취약 계층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며 정부의 일·가정 양립 정책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3
제3절 국내 선행 연구 결과 20
제4절 국내 합계출산율의 장기 추이 27
제2장 코호트 합계출산율 분석 49
제1절 분석 개요 51
제2절 기술 분석 55
제3절 코호트 합계출산율의 분해와 표준화 분석 87
제4절 코호트 순위별 출산 분포 및 출산 진도비 분석 118
제5절 소결 136
제3장 기간 합계출산율 분석 141
제1절 분석 개요 143
제2절 기술 분석 147
제3절 기간 합계출산율의 분해와 표준화 분석 174
제4절 기간 순위별 출산 분포 및 출산 진도비 분석 188
제5절 소결 198
제4장 결론 201
제1절 연구 결과 및 시사점 203
제2절 향후 전망과 정책 방향 211
제3절 연구의 제한점과 과제 214
참고문헌 217
Local ID
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19-04
ISBN
9788968276071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5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