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veloping a Health Inequalities Report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uthor정연
dc.contributor.author김명희
dc.contributor.author정최경희
dc.contributor.author최지희
dc.contributor.author배정은
dc.contributor.author서상희
dc.contributor.author하랑경
dc.date.accessioned2020-03-31T06:13:37Z
dc.date.available2020-03-31T06:13:3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bn978896827655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4861
dc.description.abstract기존 경제정책 중심의 사고로는 현세대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배제, 빈곤, 소득 양극화는 물론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회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위와 같은 배경 아래 정부는 포용성장과 포용복지를 주요한 국정과제로 설정하였으며 사회정책에서도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 연구는 포용복지의 개념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포용복지 배경과 개념을 알아보고, 소득, 노동, 건강, 주거, 교육, 사회서비스, 안전, 지역, 문화, 군 및 보훈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실천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정부가 표방하고 있는 포용복지의 개념과 그 전략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서 사회정책, 사회복지, 빈곤 연구 등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와 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주요한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아동기 연령 구분 21 제2절 생애 과정 관점과 인권으로서 아동 건강 22 제3절 아동기 건강결정요인 27 제3장 아동기 건강불평등 발생 기전 모형 개발 43 제1절 아동기 건강결정요인 및 건강불평등 발생 기전 45 제2절 아동기 건강불평등 발생 기전 모형 57 제4장 아동기 건강불평등 모니터링 지표 개발 63 제1절 아동기 건강불평등 지표 체계 65 제2절 아동기 건강불평등 모니터링 지표 선정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74 제5장 아동기 건강불평등 지표 산출 115 제1절 아동기 건강불평등 영역별 산출 지표 선정 117 제2절 아동기 건강불평등 영역별 지표 산출 결과 119 제3절 소결 185 제6장 아동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 정책현황과 개선방향 191 제1절 아동기 건강불평등 정책 분석 틀 193 제2절 아동 관련 정부 종합계획현황 200 제3절 취약아동 발굴·연계 사업현황 237 제4절 개선방향 260 제7장 결론 26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67 제2절 정책 제언 278 참고문헌 293 부 록 307 부록 1. 아동기 건강 관련 데이터 현황 307 부록 2. 아동기 건강결정요인 선행연구 314 부록 3. 아동기 건강불평등 모니터링 지표 응답 결과 331 부록 4. 아동기 건강불평등 산출 지표 정의 340 부록 5. 아동기 건강불평등 지표 선정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표 350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38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아동기 건강불평등
dc.title.alternativeDeveloping a Health Inequalities Report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아동기
dc.subject.keyword건강불평등
dc.subject.keyword사회적 건강결정요인
dc.subject.keywordadolescent
dc.subject.keywordhealth inequality
dc.subject.keyword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9-3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9-36
dc.date.dateaccepted2020-03-31T06:13:37Z
dc.date.datesubmitted2020-03-31T06:13:37Z
dc.type.research정책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kihasa건강증진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