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n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of public care supply syste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제목
An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of public care supply system for primary school children
저자

김은정 ; 장수정 ; 정영모 ; 오신휘

키워드
children without parental care ; community-based care ; school-based care
발행연도
2019
발행기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초록
이 연구는 초등아동을 대상으로 한 공적 돌봄 서비스 지원 체계의 한계와 쟁점을 분석하고 수요자의 서비스 이용 실태와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서비스 공급 환경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요자들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보다 학교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돌봄 서비스를 선호하며 향후 서비스 확대를 위해서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의 공급 구조는 대상과 공급 시간 측면에서 돌봄 공백을 해소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으며, 향후 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한 재정 지원, 서비스 제공 효율화를 위한 운용 체계 개선, 질 관리 및 서비스 유형에 따른 정체성 확립, 방학 돌봄 강화 등이 요구된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고찰 13
제1절 초등아동기의 돌봄 공백과 아동 발달 15
제2절 초등돌봄 관련 연구 및 해외 사례 23
제3절 시사점 29
제3장 초등아동 공적 돌봄 지원 정책 31
제1절 학교 돌봄 33
제2절 지역사회 돌봄 37
제3절 소결 56
제4장 초등돌봄 서비스 공급 체계 분석 59
제1절 중앙과 지역의 관리 체계 61
제2절 중앙과 지역 단위 관리 체계의 쟁점 76
제3절 공적 돌봄 서비스 공급 현황 93
제4절 소결 123
제5장 초등아동 돌봄 실태 및 욕구 127
제1절 초등아동 돌봄 서비스 이용 실태 129
제2절 돌봄 서비스 정책 인지 및 요구도 158
제3절 소결 176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79
제1절 결론 181
제2절 정책 제언 184
참고문헌 197
부 록 203
[부 록 1] 부표 및 부그림 203
[부 록 2] 조사표 229
보고서 번호
Research Monographs 2019-45
ISBN
9788968276514
KIHASA 주제 분류
Social service > Welfare for children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