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Impacts of Food Insecurity on Health and Strategies to Manage Adverse Health Outcomes among Food Insecure Populations
Title
Exploring Impacts of Food Insecurity on Health and Strategies to Manage Adverse Health Outcomes among Food Insecure Populations
Author(s)
최슬기
; 김성아
; 이재광
Keyword
food insecurity
; vulnerable population
; health impact
Publication Year
2019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식품불안정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건강취약계층의 건강불평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횡단분석과 종단분석을 통해 식품불안정이 단기적, 중장기적으로 건강행동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식품불안정의 건강영향 분석과 국내외에서 운영 중인 식품불안정 완화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고찰을 바탕으로 식품불안정을 경험한 인구집단의 건강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식품불안정이 건강행동과 다양한 영역의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했다. 식품불안정 인구의 건강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식품불안정과 위험 집단의 체계적인 모니터링, 식생활 장애 요인의 개선을 위한 지원, 생애주기 건강관리를 위한 사업 종료 후 관리 강화, 여러 영역 사업 간 연계 강화를 제시하였다.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식품불안정의 개념, 측정, 용어 정의 13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6 제2장 식품불안정의 건강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29 제1절 식품불안정의 관련 요인 31 제2절 식품불안정의 건강영향 36 제3장 식품불안정의 건강영향 분석 45 제1절 식품불안정과 건강의 관련성: 횡단분석 47 제2절 식품불안정과 건강의 관련성: 종단분석 104 제3절 소결 136 제4장 식품불안정 관련 주요 정책·제도 139 제1절 국내 정책·제도 및 관련 현황 141 제2절 외국의 정책 및 제도 152 제3절 소결 183 제5장 결 론 189 참고문헌 203 부록 227 부록 1. 식품불안정 용어 자문 응답 대상자의 특성과 자문 방법 227 부록 2. 식품불안정 수준에 따른 미충족의료 이유 227
Local ID
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19-07
ISBN
9788968276101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Health care > Food/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