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Happiness in Korea: The effects of income and asset disparit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date.accessioned2020-02-07T04:47:21Z
dc.date.available2020-02-07T04:47:21Z
dc.date.issued2019-03-31
dc.identifier.issn1598-766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37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에 대한 소득 및 자산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한국의 소득·자산 불평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연구결과의 정책적 활용을 고려하여 전국, 시·도, 시·군·구 단위의 거주지역에서 직업적 전문성을 공유하는 준거집단의 경제력과 격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2017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사회통 합 관련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소득 및 자산을 이용하여 측정한 개인의 경제력과 준거집단의 경제력 수준이 개인의 삶의 만족과 행복감을 증가시키지만 준거집단과의 경제력 격차가 클수록 개인의 행복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소득과 자산의 경제력 격차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 로 국민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력의 양적 성장 뿐 아니라 전국과 지역의 격차 해소와 소득수준을 고려한 경제적 이동성 확보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관심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dc.format.extent2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dc.title한국인의 행복: 소득 및 자산 격차의 영향 분석
dc.title.alternativeHappiness in Korea: The effects of income and asset disparit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행복
dc.subject.keyword경제력
dc.subject.keyword준거집단
dc.subject.keyword격차
dc.subject.keywordPooled OLS
dc.subject.keywordHappiness
dc.subject.keywordIncome and Wealth
dc.subject.keywordComparison with Reference Group
dc.subject.keywordDisparity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성아
dc.identifier.doi10.15855/swp.2019.46.1.185
dc.identifier.urlhttps://doi.org/10.15855/swp.2019.46.1.185
dc.identifier.localIdKIHASA-3086
dc.citation.title사회복지정책
dc.citation.volume46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9
dc.citation.startPage185
dc.citation.endPage21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사회복지정책, vol. 46, no. 1, pp. 185 - 213
Show simple item recor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3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