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Longitudinal Study on Ecological Determinants Associated with Middle-Aged and Elderly Women’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소연
dc.contributor.author박소영
dc.date.accessioned2019-01-07T06:40:09Z
dc.date.available2019-01-07T06:40:09Z
dc.date.created2018-12-31
dc.date.issued2018-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9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고령 여성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결정 요인들이 우울 증상 수준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 관계가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 자료 중 1차(2006년)와 6차(2016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1차 자료 기준으로 45세 이상 중・고령 여성 3,543명을 대상으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상태, 연간 가구 소득, 주관적 건강상태는 중・고령 여성의 우울 증상 수준과 삶의 만족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의 1차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과 주1회 이상 만나는 자녀수와 참여모임 개수의 1차 우울 증상 수준에 대한 영향력은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우울 증상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시간에 따른 장기적인 시차효과는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 넷째, 중년 여성에 비해 고령 여성의 6차 우울 증상 수준이 6차 우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의 우울 예방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cological determinants have the long-term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were different betwee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To do this, the first (2006) and sixth (2016)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ere used and we conducte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for 3,543 older adults aged 45 or older based on the first wave. As for results, first, marital status, annual household incom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ffected both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the effect of religion on the first life satisfaction an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adult children whom they meet at least once a week and the number of organizations or clubs that they participate in on the first depressive symptoms. Third,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had lagged effects over time for both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Fourth, compared with middle-aged women, the effect of the sixth depressive symptoms on the sixth life satisfaction was greater for elderly wome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e and policy measures for depression prevention and life satisfaction improvement were discussed.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n error occurred on the license name.
dc.rights.uriAn error occurred getting the license - uri.
dc.title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결정 요인과 우울 증상에 관한 종단연구
dc.title.alternativeA Longitudinal Study on Ecological Determinants Associated with Middle-Aged and Elderly Women’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중년 여성
dc.subject.keyword고령 여성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삶의 만족도
dc.subject.keyword생태체계적 요인
dc.subject.keywordMiddle-Aged Women
dc.subject.keywordElderly Women
dc.subject.keywordDepressive Symptoms
dc.subject.keywordLife Satisfaction
dc.subject.keywordEcological Determinant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18-12-31
dc.citation.startPage129
dc.citation.endPage16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4호, pp.129-16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4, pp.129-163
dc.date.dateaccepted2019-01-07T06:40:09Z
dc.date.datesubmitted2019-01-07T06:40:09Z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Cited 6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