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Social Services: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안수란
dc.date.accessioned2018-12-28T09:03:59Z
dc.date.available2018-12-28T09:03:59Z
dc.date.issued2018-12-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0913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2/2018.12.6
dc.description.abstract서비스의 양적 확대를 통한 일자리 확충을 강조하던 기존의 정책 기조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정책 의제 중 하나로 사회서비스 보장성 강화가 논의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사회서비스 보장 현황을 사각지대 개념을 적용하여 정책 설계 및 결과 측면에서 생애주기별·영역별로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서비스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쟁점들을 제시하였다. 사회서비스 보장성 강화 정책은 서비스 영역별 특성과 발전 단계를 고려하여 보장 영역, 보장 대상, 보장 방법에 대해 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서비스 영역을 총괄하는 통합적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관리 방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사회서비스 보장 현황과 정책 함의
dc.title.alternativeSocial Services: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identifier.doi10.23062/2018.12.6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18
dc.citation.volume266
dc.citation.number12
dc.citation.date2018-12-01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endPage8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18년 12월 통권 제266호, pp.69-8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8.12 No.266, pp.69-80
dc.date.dateaccepted2018-12-28T09:03:59Z
dc.date.datesubmitted2018-12-28T09:03:59Z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