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데이비드 커로
dc.date.accessioned2018-03-14T08:36:21Z
dc.date.available2018-03-14T08:36:21Z
dc.date.issued2017-12-31
dc.identifier.issn2586-084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127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3/2017.12.6
dc.description.abstract폭넓은 협의를 거쳐 개발된 호주 최초의 국가완화의료전략은 2000년에 호주의 모든 주와 준주에서 승인을 얻었으며, 2010년에 한 번 개정되었다. 동 완화의료전략은 (1)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제고, (2) 완화의료의 질과 효과성 제고, (3) 완화의료 협력 관계 강화에 중점을 둔다. 이 전략의 핵심적 특징은 일반 의료 종사자가 갖춰야 할 완화의료 기술과 역량(완화의료적 접근)을 정의한 데 있다. 완화의료의 전문적 기술과 역량이 필요한 부분은 완화의료 전문가가 지원한다. 국가완화의료전략의 개발에 맞춰 호주완화의료협회는 완화의료전략 ‘핵심운영지침’들을 개발하였다. 2016년 두 번째 개정을 위한 평가 결과, 국가완화의료전략은 ‘완화의료서비스가 호주의 의료체계 전반에 지속적으로 확대·개선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1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dc.title.alternative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David Currow
dc.identifier.doi10.23063/2017.12.6
dc.citation.title국제사회보장리뷰
dc.citation.title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dc.citation.volume2017
dc.citation.volume3
dc.citation.number겨울
dc.citation.date2017-12-31
dc.citation.startPage64
dc.citation.endPage7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제사회보장리뷰 2017년 겨울 3호, pp.64-7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17 No.겨울 3, pp.64-73
dc.date.dateaccepted2018-03-14T08:36:21Z
dc.date.datesubmitted2018-03-14T08:36:21Z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