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hanges in homogamy and heterogamy in the era of low fertility of Korea

Title
Changes in homogamy and heterogamy in the era of low fertility of Korea
Author(s)

신윤정 ; 이명진 ; 박신아

Keyword
선택혼 ; 동질혼 ; 이질혼 ; 로그선형분석 ; 저출산
Publication Year
2017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2000년대부터 우리나라는 1.3명 이하의 초저출산 국가로 진입하였으며, 2015년 현재 합계출산율은 1.2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배우자의 유형과 역할이 과거의 전통적인 모습에서 많이 달라졌음에도 이를 뒷받침할 사회적 체제가 미약함에 따라 결혼과 출산의 지연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우자 간의 사회‧경제적 격차의 변화와 최근의 특성을 분석하고 배우자 유형별 출산과 가족생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변화되고 있는 배우자 매칭 구조에 따라 청년 결혼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배우자 유형에 맞추어 건강하게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인 사항을 강구하고자 한다.

During the last decades, the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increased to a great extent in Korea like in all developed countries and most countries in the world. Well-educated men are still highly valued in the marriage market, but today they are not as much sought after as they used to be. The increase in the educational attainment for Koreans, especially for women, has 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marriage. Hypergamy was the dominant marriage norm; now Korean couples are homogamous or even hypogamous in their marriage pattern. The difference in age between husbands and wives decreased as women’s age at first marriage increased. Husbands were often at least 4 years older than their wives before the 1980’s; now it’s often the case that women marry men their age or younger. Although husbands and wives have become much more equal in term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women-men disparities are still prevalent in the labor market and housework. The contrast in fertility behavior between hypergamic couples and others may diminish in Korea similar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결혼의 이론적 배경 13
제1절 결혼에 대한 이론 15
제2절 국내 연구 동향 27
제3절 국외 연구 동향 35
제3장 혼인 유형과 출산아 수 분석 45
제1절 분석의 개요 47
제2절 학력 수준과 혼인의 변화 49
제3절 동질혼과 이질혼의 추이 57
제4절 배우자 유형별 자녀 수 분석 68
제5절 소결 80
제4장 배우자 교육수준의 상관성 추이 분석 83
제1절 혼인 유형 추이 85
제2절 결합 정도의 추이 98
제3절 소결 111
제5장 배우자 유형별 가족생활 분석 115
제1절 심층 면접 분석 개요 117
제2절 분석 결과 121
제3절 소결 147
제6장 결론 151
제1절 연구 결과의 시사점 153
제2절 향후 정책 방향 157
참고문헌 163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7-21
ISBN
9788968274732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