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철선 |
dc.contributor.author | 김진희 |
dc.contributor.author | 이연희 |
dc.contributor.author | 김성기 |
dc.contributor.author | 조혜경 |
dc.contributor.author | 백필호 |
dc.date.accessioned | 2018-03-13T17:30:06Z |
dc.date.available | 2018-03-13T17:30:06Z |
dc.date.issued | 2017 |
dc.identifier.isbn | 9788968274589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073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이슈화 되고 있는 청년실업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협동조합을 통한 청년고용 문제의 해결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의 청년창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으로 청년협동조합의 창업 활성화를 통한 고용 창출모델을 활용하여 정책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 영리기업의 창업 시, 정부 지원이 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 못했는지와 영리기업이 아닌 비영리 사업체의 창업 과정에 대한 정부의 지원 사업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런 후 사회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존 비영리법인의 대안 모델로서 청년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While youth unemployment rate in Korea reached its all-time high in history, the birthrate of businesses, which is the main driving force of job creation, is at a standstill. The unemployment rate for the youth population aged 15?29 reached its highest in 2016 at 9.8%, an increase of 1.8 %p from 8.0 % in 2010 while the business startup rate fell from 15.3% in 2010 to 14.6% in 2015. On the contrary,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hat pursue citizen-led job creation and autonomous regional welfare, including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ve associations, are rapidly growing these days. In particular, cooperative associations based on the basic act on cooperative association enacted in 2011 show remarkable growth. The number of cooperative associations reached 10,640 in just five years after the act took effect. This paper examines problems of the government’s youth entrepreneurship support aimed at job creation. As an improvement plan, this study investigates job creating model that is based on the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by the Youth Cooperative Association (YCA) and examines relevant policy issues. For this goal, this paper examines why the government’s support to for-profit businesses at the time of their foundation does not lead to job creation.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government’s support project for non-profit business establishment. We propose the potential of the YCA a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existing non-profit corporation that i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service. We also suggest plans for supporting YC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government’s growth plan for the YCA, establishment of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policy issue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20 제2장 청년창업 분야로서 사회복지서비스업 현황 23 제1절 기업체 생성과 사회복지서비스업 현황 25 제2절 사회복지서비스 기업체 감소와 청년기업가 27 제3절 세부 업종별 사업체 감소 원인 34 제4절 고용 창출 분야로서 사회복지서비스업 검토 37 제3장 정부의 청년창업 지원 정책과 문제점 45 제1절 정부의 창업 지원 정책 개관 47 제2절 정부의 창업 지원 정책의 문제점 63 제4장 유형별 청년창업기업의 효과성 검토 69 제1절 개관 71 제2절 일반 벤처기업 73 제3절 청년 사회적기업 98 제4절 비영리법인 110 제5절 협동조합 126 제6절 신(新)창업 모델로서 청년협동조합 가능성 검토 136 제5장 청년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141 제1절 개관 143 제2절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육성 방향 설정 144 제3절 청년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금융 인프라 방안 162 제4절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창업교육 지원 방안 191 참고문헌 193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20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협동조합을 통한 청년고용 창출모델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youth job creating model based on entrepreneurship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청년창업 |
dc.subject.keyword | 비영리사업체 |
dc.subject.keyword | 사회적기업 |
dc.subject.keyword | 청년협동조합 |
dc.subject.keyword | 비영리법인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철선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김진희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연희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17-11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17-11 |
dc.subject.kihasa | 사회서비스 일반 |
dc.subject.kihasa | 노동연계복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