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hang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funct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nd unaffordable housing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정민
dc.contributor.author허용창
dc.contributor.author오욱찬
dc.contributor.author윤수경
dc.date.accessioned2018-03-07T17:30:06Z
dc.date.available2018-03-07T17:30:06Z
dc.date.issued2015-05-31
dc.identifier.issn1229-513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9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 물리적·사회적 환경, 제도적 특성을 포괄하는 건강결정요인에 관한 분석틀을토대로, 최저주거기준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주거빈곤이 개인의 주관적 건강, 신체 및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전국적인 대표성을 지닌 한국복지패널에서 추출된, 2009-2013년에 실시된 조사에 모두 참여한 만 18세 이상 성인으로, 총 8,583명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종단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정효과모형의 장점에 일반화추정방정식 혹은 확률효과모형의장점을 결합한 회귀분석-하이브리드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주거의 물리적 환경이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것과 주거의 경제사회적 측면인 주거비 과부담이 발생하는 것 모두 정신건강(e.g., 우울)에 부정적임을 보여 주었다.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는 전체인구의 4분의 1, 빈곤층에서는 3 분의 1에 달하며, 주거비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가구의 비율은 빈곤층에서 약 23%에 이르러 전체인구에서의 비율보다 4배 이상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저주거기준을 온전히 적용할 경우거주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에 사는 가구의 비율이 기존의 보고보다 매우 높고, 둘째, 빈곤층의 경우적절한 주거환경에서 거주하는 것과 적정한 비용으로 거주공간을 확보하는 것 모두 큰 도전이라는 것, 셋째, 주거급여의 제공과 주택개량사업과 같은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이 주거비부담 완화 및주거환경 개선이라는 주효과와 더불어 수혜자의 우울감 완화와 같은 정신건강 증진의 부수적 효과도수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저주거기준 및 주거비 과부담의 실태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주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성과 정도를 보다 명확히 밝히는데 기여하였다.
dc.format.extent2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사회복지학회
dc.title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dc.title.alternativeChang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s a funct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ditions and unaffordable housing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최저주거기준
dc.subject.keyword주거비 과부담
dc.subject.keyword주거빈곤
dc.subject.keyword건강
dc.subject.keyword정신건강
dc.subject.keyword종단연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욱찬
dc.identifier.url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517340713321&SITE=CLICK
dc.identifier.localIdKIHASA-787
dc.citation.title한국사회복지학
dc.citation.volume67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15
dc.citation.startPage137
dc.citation.endPage15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사회복지학, vol. 67, no. 2, pp. 137 - 159
Show simple item recor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25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