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oadness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in anti-discrimination laws of OECD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오욱찬
dc.date.accessioned2018-03-07T17:30:03Z
dc.date.available2018-03-07T17:30:03Z
dc.date.issued2016-11-30
dc.identifier.issn1229-280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9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차별금지법에 적용되는 장애 개념의 포괄성을비교ㆍ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학설을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1) 장애 개념의 구성요소에 활동ㆍ참여 제약이 포함되는지 여부, 2) 장애의 심각성을 제한하는지 여부, 3) 장애의 지속성을 제한하는지 여부, 4) 현재장애 외에 과거장애, 미래장애, 간주장애, 장애인과 관련된 사람까지 포함하는지 여부. 평가 결과 호주, 핀란드, 아일랜드, 노르웨이는 모든 기준을 충족하여 장애 개념이 가장 포괄적인 것으로확인되었다. 반면 한국은 에스토니아, 프랑스, 그리스, 일본, 룩셈부르크, 폴란드, 슬로바키아, 영국과 함께 협소한 장애 개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장애 개념이 갖는 협소함을 극명하게보여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 정의의 수정을 제안하였다.
dc.format.extent45
dc.languagekor
dc.publisher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dc.publisher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
dc.title차별금지의 대상으로서 장애 개념의 포괄성: OECD 국가의 차별금지법에 대한 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the broadness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in anti-discrimination laws of OECD countr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장애 개념
dc.subject.keyword차별금지법
dc.subject.keyword활동제약
dc.subject.keyword사회모델
dc.subject.keyword비교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욱찬
dc.identifier.url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977533
dc.identifier.localIdKIHASA-783
dc.citation.title비판사회정책
dc.citation.volume53
dc.citation.date2016
dc.citation.startPage442
dc.citation.endPage48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비판사회정책, vol. 53, pp. 442 - 48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