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은진 |
dc.date.accessioned | 2017-12-22T11:09:36Z |
dc.date.available | 2017-12-22T11:09:36Z |
dc.date.issued | 2017-07-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346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7.07.7 |
dc.description.abstract | 모유수유 실천은 선진국에서도 국민 건강의 근간을 이루는 정책으로 관리되고 있고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생후 6개월 동안 모유만을 먹이는 것(완전모유수유)을 권장하고 있다. 2016년 국내 만 2세 미만 아동이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행동을 조사한 결과 생후 1주 안에 완전모유수유를 시작한 비율은 59.5%였고, 생후 6개월 미만(만 5개월)의 완전모유수유율은 18.3%로 나타났다. 완전모유수유 지속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은 직업(전업주부), 모유수유 교육 경험, 출산 후 1시간 이내 모유수유, 산후조리의 장소 등이었다. 지역사회의 모유수유 지원 환경 조성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모유수유 실천 관련 사회환경적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
dc.title.alternative | Breastfeeding-relate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최은진 |
dc.identifier.doi | 10.23062/2017.07.7 |
dc.identifier.localId | KIHASA-179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7 |
dc.citation.volume | 249 |
dc.citation.number | 7 |
dc.citation.startPage | 72 |
dc.citation.endPage | 81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7년 7월 통권 제249호, pp.72-81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7.7 No.249, pp.72-81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