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Family Crises in a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유경
dc.date.accessioned2017-12-22T11:09:23Z
dc.date.available2017-12-22T11:09:23Z
dc.date.issued2017-05-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326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2/2017.05.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리 가족·사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신빈곤층의 등장, 돌봄·부양 공백, 이혼·별거 등의 해체 누적, 자살·재난 등의 응급적 사건·사고 등으로 많은 가정이 가족 보호 기능을 상실하거나 가족해체 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특수한 가족 욕구에 대응하는 맞춤 서비스의 제공은 미흡한 실정이다. 사회적 안전망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 변화와 응급 요인으로 인한 위기 발생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생산하고 이를 가속화해 장기적으로 많은 사회적 비용 부담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회적 부담 해소를 위해서는 가족 위기에 대응하는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위기에 직면하고 위기가 장기화된 가족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를 위한 상담과 관련 정보 전달을 하고, 위기 유형별로 차별화된 전략 등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위기 해결의 장애 요인으로 가족 내외적 요인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가족위기의 특성에 맞추어 사회적 인프라를 다양하게 구축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위기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은 상호복합적이므로 위기 유형별 문제 진단과 정책 접근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format.extent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The Family Crises in a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유경
dc.identifier.doi10.23062/2017.05.7
dc.identifier.localIdKIHASA-159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17
dc.citation.volume247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71
dc.citation.endPage9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17년 5월 통권 제247호, pp.71-9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7.5 No.247, pp.71-91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2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