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Materialism and Mental Health: A Negative Relation Not Moderated by Economic Stat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희성
dc.contributor.author김태익
dc.contributor.author박유빈
dc.contributor.author박선웅
dc.date.accessioned2017-12-22T11:09:09Z
dc.date.available2017-12-22T11:09:09Z
dc.date.issued2017-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307
dc.description.abstract물질주의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물질주의는 개인의 정신건강 수준을 반영하는 여러 지표와 부적 상관을 보인다. 물질주의가 높은 사람들의 낮은 정신건강의 원인으로는 크게 두 가지, 즉 물질적 목표 도달의 실패, 그리고 외적 목표 추구로 인한 심리적 욕구의 비충족이 논의된 바 있다. 본 연구는 물질주의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에 대한 서로 다른 가설을 위의 두 관점으로부터 도출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169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물질주의와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가구 월 소득 및 지각된 자원 이용가능성으로 측정된 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2에서는 경제적 자원 활용에서의 통제감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직장인 152명을 대상으로 위의 효과를 재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물질주의는 개인의 경제적 수준과 관계없이 높은 우울감,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낮은 삶의 의미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물질주의 가치관이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In light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und a negativ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various indicators of mental health,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individual’s objectiv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Two different perspectives have been discussed regarding materialists’ poor mental health: discrepancy between high materialistic goals and reality, and unmet psychological needs resulting from the pursuit of extrinsic goal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different prediction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status that were made according to each perspective. In Study 1 (N = 169), we examined whether participants’ monthly household income (objective economic status) or perceived resource availability (subjective economic status)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material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In Study 2 (N = 152), we recruited only currently employed individuals in order to control for the perceived power over their economic resources. In both studies, materialism was negatively related to various indicators of mental health. This relation was not moderated by individuals' objective or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pporting the unmet psychological needs perspective.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ith regard to the prevalent materialism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dc.format.extent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물질주의와 정신건강: 경제적 수준으로 조절되지 않는 부적관계
dc.title.alternativeMaterialism and Mental Health: A Negative Relation Not Moderated by Economic Statu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물질주의
dc.subject.keyword가치관
dc.subject.keyword정신건강
dc.subject.keyword객관적 경제적 수준
dc.subject.keyword주관적 경제적 수준
dc.subject.keywordMaterialism
dc.subject.keywordMental Health
dc.subject.keywordIncome
dc.subject.keywordEconomic Status
dc.subject.keywordPerceived Economic Status
dc.identifier.localIdKIHASA-140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368
dc.citation.endPage39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3호, pp.368-39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3, pp.368-397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