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int distribution of income and asset
; asset test
; asset-income conversion
; dual cut-off
; basic asset deduction
Publication Year
2016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system has closely related with the means test limits, especially in those countries where means test based benefits take major part of whole social benefit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how to reform the asset test ? asset limits and how to apply asset test criteria, based on the analysis of joint distribution of income and asset of low income class. The main problems of asset test in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 Most of social benefit based on means test has asset test regardless of its coverage. Most of benefits with asset test use asset-income conversion method. And the level of basic asset deduction which plays as substantial asset limit is so low that about half of the poor can not meet that criteria. Because the current income-asset conversion system has some inefficiency problem and logical inconsistency, and play almost no practical role, it needs to be replaced with dual (income and asset) cut-off system. If that change cannot be expected in near future, some policy measure should be taken: Conversion rates, varying with asset types, should be simplified. Housing assets- own house and deposits of rented house ? should be taken separately with other asset, and more generous limit should be applied to them. Setting different asset limits according to income zone or beneficiary years, for example, could be an alternative for conversion rule. In case that the amount of benefit varies with recipients asset level, it is better to link asset level with payments than to convert asset to income. In setting asset limit, the size of household should be took into account. And indexing asset limit to major economic measure such as CPI is required to avoid lack in coverage of social benefit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문제 제기 9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14
제2장 사회보장제도와 자산에 관한 이론적 검토 19 제1절 머리말 21 제2절 경제적 복지의 기준으로서의 소득과 자산 23 제3절 사회보장제도의 자격기준(eligibility)으로서의 자산 26 제4절 사회보장의 목적으로서의 자산 40 제5절 소결 48
제3장 소득 및 자산분포의 현황 51 제1절 분석 자료 및 방법 53 제2절 가구 자산분포 현황 55 제3절 한국의 자산분포 특징 76
제4장 주요 사회보장제도의 재산기준 적용 현황 89 제1절 사회보장제도의 재산기준 적용 방식 91 제2절 재산기준 유형별 사회보장제도의 분포 96 제3절 소득인정액 산정 방식과 자산기준 108 제4절 자산기준 적용의 문제점 113
제5장 자산기준 적용의 해외 사례: 영국 117 제1절 영국 사례에 대한 검토의 의의 119 제2절 영국 자산보유 실태 분석 121 제3절 영국 사회보장제도와 재산조사형 급여 139 제4절 영국 사회부조제도의 재산기준과 적용 161 제5절 영국 자산기준 운영의 특성과 시사점 171
제6장 자산기준 적용의 해외 사례: 호주 179 제1절 호주의 사회보장제도와 재산기준 181 제2절 호주 사회보장제도의 자산기준 적용 특징 196 제3절 호주 자재산기준제도의 주요 시사점 203
제7장 자산기준의 개선 방향 205 제1절 부채 공제의 실태와 개선 방안 207 제2절 자산의 소득환산 방식의 문제점과 대안 222 제3절 기본자산 공제선의 수준 조정과 적용 방식 개편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