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mographic Forecasting: Analytic Review and Assess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우해봉
dc.contributor.author양지윤
dc.contributor.author조성호
dc.contributor.author안형석
dc.date.accessioned2017-04-05T07:09:49Z
dc.date.available2017-04-05T07:09:4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81-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952
dc.description.abstract인구구조의 급격한 고령화는 노인인구의 증가 및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를 통해 향후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을 포함한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적 부담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소득보장이나 의료보장과 같은 사회보장제도는 여러 세대를 가로질러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관계로 인구의 규모와 구조에 대한 정확한 전망은 제도의 안정적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인구추계를 둘러싼 내·외적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까지 인구추계 분야에서 이루어진 방법론적 발전 상황을 검토하고 주요 인구추계 모형의 성과를 경험적으로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인구추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Over the past 25 years, significant improvement has been made in demographic forecasting. This study reviews major developments in population forecasting since 1990, with focus on time-series methods. Using the Human Mortality Database and Human Fertility Database, this study also compares point forecast accuracy of forecasting meth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formance of forecasting methods depends on many factors. It appears that it is not constructive to pursue a single best demographic forecasting method. Complementary combinations of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statistical models and expert knowledge on future demographic change, would be recommended to improve the utility of population forecasting. Further, this study also indicat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measuring uncertainty surrounding forecas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인구추계와 불확실성 19 제1절 추계와 예측 21 제2절 인구추계와 불확실성 23 제3장 인구추계 방법론의 현황과 특징 31 제1절 서론 33 제2절 인구추계 방법론의 현황과 특징 35 제3절 소결 113 제4장 인구추계 모형 평가 117 제1절 서론 119 제2절 분석 자료 120 제3절 분석 모형 및 지표 124 제4절 분석 결과 139 제5절 소결 159 제5장 종합 및 결론 161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163 제2절 정책 제언 166 제3절 연구의 한계 188 참고문헌 189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인구추계 방법론의 현황과 평가
dc.title.alternativeDemographic Forecasting: Analytic Review and Assessment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인구추계
dc.subject.keyword정확성
dc.subject.keyword불확실성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해봉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성호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2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22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2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