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n Diverse Families and Policy Implications: With Focus on Nonmarital Cohabita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변수정
dc.contributor.author김혜영
dc.contributor.author백승흠
dc.contributor.author오정아
dc.contributor.author기재량
dc.date.accessioned2017-03-07T06:13:37Z
dc.date.available2017-03-07T06:13: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72-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82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가족은 부와 모 그리고 자녀로 구성되는 전통적인 가족에서 벗어나 다양한 유형으로 진화하고 있다. 때로는 가족 형성의 시작부터 전통가족과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결혼, 혼인신고, 법적 부부로 시작되던 가족형성 대신 동거를 통한 가족생활을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혼 동거가족의 선택이유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혼 동거가족을 중심으로 결혼, 가족, 그리고 임신·출산 및 양육 전반에 대해 갖는 생각과 동거 생활에서의 경험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일반 국민의 수용정도를 함께 살펴보아 한국사회에서의 비혼 동거가족을 다각적으로 이해해 보았다. 이를 통해 비혼 동거가족이 우리사회에서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s of nonmarital cohabitation in Korea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Although the increasing number of cohabitors in Korea has been frequently addressed,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on nonmarital cohabit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ohabitors’ marriage and family valu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childbirth and child-rearing. It also examines public opinions and attitudes about cohabit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e changes in Korean families and the trends of cohabitation in foreign countries. Next, we conducted online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ohabitors to understand their reasons for cohabitation and to examine their marriage and family values. The various reasons of cohabitation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cohabitation as a stage in the marriage process’ and ‘cohabitation as an alternative to marriage or cohabitation not related to marri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habitors who chose cohabitation as an alternative to marriage were more progressive and more likely to seek changes in traditional marriage and family values than those who chose cohabitation as a stage in the marriage. Further, those who chose cohabitation as an alternative to marriage were likely to plan not to have children, whereas cohabitors with a plan to marry were likely to consider having children after marriage. Finally, although the study finds somewhat conservative attitudes among the public toward cohabit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at younger people are very open in their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to help develop effective policies to improve well-being among cohabitors. In particular, systems for registration of cohabiting relationship are needed to support them. Moreover, further suggestions are made to reduce negative attitudes to and prevent discrimination against cohabitation. Furthermore, policymaker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policies that embrace non-traditional families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이론적 검토 17 제1절 가족 변동과 가족 다양성 담론 19 제2절 가족 다양성의 기제와 특징적 양상들 29 제3절 국내 비혼 동거 관련 연구 동향 45 제4절 국외 비혼 동거 관련 연구 동향 57 제3장 해외 비혼 동거가족 현황 및 제도적 보호 71 제1절 해외 비혼 동거가족의 현황 73 제2절 프랑스 비혼 동거가족 관련 제도적 장치 81 제4장 비혼 동거가족의 가족 관련 가치관 103 제1절 분석 대상 특성 106 제2절 비혼 동거 선택의 동기 및 가족 관련 가치관 110 제5장 비혼 동거가족의 임신·출산 및 양육 143 제1절 2차 자료에서 나타난 비혼 동거가족의 출산 경향 145 제2절 비혼 동거가족의 임신·출산 및 양육 관련 경험 및 태도 151 제3절 비혼 동거가족의 출산 의향 로짓분석 174 제6장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인식 181 제1절 2차 자료에서 나타난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인식 변화 183 제2절 비혼 동거가족에 대한 국민인식 현황 195 제3절 비혼 동거가족의 가치관과 국민인식 비교 237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43 제1절 결론 245 제2절 정책적 제언 247 참고문헌 261 부 록 275 부록 1. 비혼 동거가족 실태조사 조사표 275 부록 2. 비혼 동거에 관한 인식조사 조사표 291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다양한 가족의 출산 및 양육실태와 정책과제 - 비혼 동거가족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Childbirth and Child-Rearing in Diverse Families and Policy Implications: With Focus on Nonmarital Cohabitat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다양한 가족
dc.subject.keyword비혼 동거
dc.subject.keyword결혼 및 가족 가치관
dc.subject.keyword임신·출산 및 양육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변수정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1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13
dc.subject.kihasa가족변화
dc.subject.kihasa가족정책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policy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Cited 5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