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오미애 |
dc.contributor.author | 최현수 |
dc.date.accessioned | 2016-05-19T09:12:20Z |
dc.date.available | 2016-05-19T09:12:20Z |
dc.date.issued | 2015-12-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6010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5.12.7 |
dc.description.abstract |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제공하고 있는 스위스, 영국, 스웨덴의 사회과학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EU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데이터 관리 정책에 대하여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건복지분야 데이터 관리체계 구축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해외의 데이터 관리체계 사례 및 시사점 |
dc.title.alternative | Data Management Systems in Selected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마이크로데이터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오미애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최현수 |
dc.identifier.doi | 10.23062/2015.12.7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5 |
dc.citation.volume | 230 |
dc.citation.number | 12 |
dc.citation.startPage | 76 |
dc.citation.endPage | 8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5년 12월 통권 제230호, pp.76-8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5.12 No.230, pp.76-84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