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권선진 |
dc.date.accessioned | 2016-04-28T02:28:40Z |
dc.date.available | 2016-04-28T02:28:40Z |
dc.date.issued | 2015-08-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768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5.08.3 |
dc.description.abstract | 장애인의 보건의료 실태와 관련한 공적 지원은 이들의 사회활동과 자립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장애인구의 증가와 함께 장애인의 고령화도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따라 건강관리와 의료지원이 장애분야에서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들의 보건의료 및 건강관리를 위해 제도적 미비점의 보완과 함께 관련 시설과 인력의 확충, 장애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장애인의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
dc.title.alternative | Health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ent State and Policy Implication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장애인 보건의료 |
dc.identifier.doi | 10.23062/2015.08.3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5 |
dc.citation.volume | 226 |
dc.citation.number | 8 |
dc.citation.startPage | 16 |
dc.citation.endPage | 2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5년 8월 통권 제226호, pp.16-2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5.8 No.226, pp.16-26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