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 data consists of various forms of data in large volumes, which are rapidly created. Therefore, it requires a new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ology. Moreover, as social media platforms emerge as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feelings and sentiments of the current times with messages on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policy agendas set up in public spheres can be identified from social media. Countless comment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evolve as a log of information, which continues to evolve as an asset for public policy. As such, many nations and businesses actively strive for new economic effects, job creation, as well as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the utilization and analysis of social big data created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is study proposes study methodologies and utilization strategies of social big data that can create value and predict the future by gathering and analyzing social big data from various fields.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demands for the low fertility policies based on social big data.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9 제2절 연구 목적 11 제3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2 제2장 이론적배경 13 제1절 저출산 동향 15 제2절 소셜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안 35 제3절 소셜 빅데이터 수집 및 분류기술 동향 51 제3장 저출산 빅데이터 분류체계 개발 73 제1절 비정형 빅데이터 분류체계 개발 75 제2절 정형 빅데이터 분류체계 개발 104 제4장 저출산 소셜 빅데이터 분석 및 수요 예측 123 제1절 연구대상 125 제2절 연구도구 126 제3절 분석방법 136 제4절 연구결과 137 제5절 요약 및 결론 173 제5장 저출산 빅데이터 정보관리 모형개발 177 제1절 저출산 빅데이터 정보관리 모형분석 179 제2절 저출산 빅데이터 정보관리모형 개발 188 제6장 저출산 정책 효율성 평가 방안 201 제1절 서론 203 제2절 효율성 평가 방안 205 제3절 요약 및 결론 211 제7장 정책제언 215 제1절 소셜 빅데이터의 효율적 활용방안 217 제2절 저출산 빅데이터 분류를 위한 온톨로지 개발 218 제3절 소셜 빅데이터 기반 저출산 정책 수립 220 제4절 저출산 정책의 효율성 평가 방안 222 제5절 IoT 기술 기반 저출산 정책 서비스 모형 개발 223 제6절 저출산 빅데이터 정보관리체계 수립 225 참고문헌 229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5-21-11
ISBN
978-89-6827-274-5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Health and welfare digitization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