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inequities is not just concerned with health care; rather, it is an issue of fairness and social justice. Health policies based on health inequ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s for the decades. Evidence presented in Kim et al(2014), and many other evidence based analyses of health inequities show social gradients in health outcomes, which closely relate to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Korea. As the third period study of a multi-year project monitoring health inequities,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he strategies and programmes for health equities in Korea. This report contains recommendations and analysis to minimize and eliminate health inequities in core health areas; tobacco, alcohol, physical activity, nutrition, suicide, the early childhood, the poor, and vulnerable area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부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인구집단별 접근 전략 11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건강생활습관의 불평등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21 제1절 흡연 21 제2절 알코올 소비 48 제3절 신체활동 70 제4절 영양 90 제5절 자살 109 제3장 인구집단별 건강불평등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131 제1절 생애초기 및 아동기 131 제2절 경제적 취약계층 152 제3절 지역건강격차 198 제4장 결 론 227 제2부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지역 단위 전략: 한국형 건강빈곤 지수의 개발 및 적용 231 제1장 서 론 23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3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34 제2장 Health Poverty Index의 개념과 적용 237 제1절 Health Poverty Index의 개념 237 제2절 Health Poverty Index의 산출 246 제3절 국내 Health Poverty Index 적용 사례 261 제3장 한국형 건강빈곤지수(Health Poverty Index) 개발 265 제1절 개발과정 265 제2절 전문가 델파이조사 271 제3절 한국형 건강빈곤지수 288 제4절 한국형 건강빈곤지수 적용: 서울시 건강불평등 현황 301 제4장 결 론 353 참고문헌 355 부 록 375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5-04
ISBN
978-89-6827-247-9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