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봉주 |
dc.date.accessioned | 2015-09-14T10:27:14Z |
dc.date.available | 2015-09-14T10:27:14Z |
dc.date.issued | 2015-02-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4408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5.02.2 |
dc.description.abstract | 「아동종합실태조사」를 통해 본 우리나라 아동들은 대부분 화목한 가정에서 부모의 관심을 받으며 물질적인 면에서도 기본적인생활여건을 충족 받으며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조사는 그러한 모습이 모든 아동들의 가정환경 상태가 아니라는 것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저소득층의 경우는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가정환경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중 가장 주목해야 할 것 중에 하나는 아동결핍 지수다. 아동결핍 지수 조사결과는 지나친 경쟁위주의 입시교육의 풍토에서 아동기에 보다 자유롭게 활동에 참여하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우리나라 아동들은 박탈당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title | 가정환경과 아동의 삶의 질 |
dc.title.alternative | Family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아동 |
dc.subject.keyword | 가정환경 |
dc.identifier.doi | 10.23062/2015.02.2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5 |
dc.citation.volume | 220 |
dc.citation.number | 2 |
dc.citation.startPage | 6 |
dc.citation.endPage | 1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5년 2월 통권 제220호, pp.6-1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5.2 No.220, pp.6-13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