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Super-low birthrate and super-aging society: risks and responding strategies according to female social groups

Title
Super-low birthrate and super-aging society: risks and responding strategies according to female social groups
Author(s)

장미혜 ; 장혜경 ; 박복순 ; 김석호 ; 정지연 ; 조선미

Keyword
초저출산 ; 초고령화 ; 출산율 ; 가족적 위험 ; 경제적 위험 ; 사회적 위험 ; 사회집단간 불평등 ; 일-가족 양립 ; 성평등적 접근 ; 통합적 관리 ; 맞춤형 정책
Publication Year
201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In South Korea, there is a phenomenon showing super-low birthrate of 1.19 average, the lowest in all OECD countries on the basis of 2013 figure. Although there has been rapid growth in number of childbirth and childcare support policies for the last 10 years since the light was first shed on the risk of low birthrate, single women still stick with negative attitude against childbirth, married women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work-family relations and old generations are not being taken care of.
Therefore policies supporting childbirth should move forward in direction of allowing women to continue to stay in labour force even during the process of childbirth and childcare by guaranteeing stability in employment and flexibility in labour for moms. Thus the goal of policies against low-birthrate should not simply be enhancing birthrate of individual household but an establishment of good local community and environment where parents can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is required.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제3절 연구배경 28

제2장 초저출산.초고령화의 진전과 여성의 사회적 위험 59
제1절 저출산 문제를 둘러싼 다섯 가지 시각들 61
제2절 재생산과 여성의 몸에 대한 통제 강화 64
제3절 가족구성과 생애경로의 다양화와 불확실성 66
제4절 여성의 노동활동 참여와 성별 노동시장의 불평등 69
제5절 가족 내 성역할 변화와 돌봄의 부담 71
제6절 일-가족 양립을 둘러싼 갈등의 확대 76
제7장 소결 80

제3장 여성의 사회적 위험 초저출산.초고령화 사회의 유형별 특성 83
제1절 출산율의 변화를 통해 본 국가의 유형화 85
제2절 국가소득수준과 여성의 취업 및 성역할에 대한 인식 91
제3절 출산율과 여성의 취업 및 성역할에 대한 인식 101
제4절 소결 141
제4장 미혼여성의 사회적 위험요인과 대응방안 147
제1절 미혼여성의 가족적 위험 149
제2절 미혼여성의 경제적 위험 163
제3절 미혼여성의 사회적 위험 168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172

제5장 기혼여성의 위험요인과 대응방안 175
제1절 사회계층별 기혼여성의 가족적 위험 177
제2절 사회계층별 기혼여성의 경제적 위험 190
제3절 기혼남녀의 사회적 위험 202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206

제6장 여성노인의 사회적 위험요인과 대응방안 209
제1절 남녀노인의 가족적 위험 212
제2절 남녀노인의 경제적 위험 218
제3절 남녀노인의 사회적 위험 220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224

제7장 사회집단별 여성의 정책욕구와 대응방안 227
제1절 여성의 사회집단별 차이 229
제2절 초저출산 정책의 이슈와 쟁점 237
제3절 이슈별 향후 정책적 대응방안 249

참고문헌 255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4-22-1-10
ISBN
978-89-6827-231-8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Social service > Welfare for women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