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Title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Author(s)

김승권 ; 김유경 ; 김혜련 ; 박종서 ; 손창균 ; 최영준 ; 김연우 ; 이가은 ; 윤아름

Keyword
fertility ; contraception ; family health ; child care expenditure ; family welfare
Publication Year
2012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is the 22nd and latest in the series of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which started in 1964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informed policymaking by means of an up-to-date understanding of a wide range of variables that are associated directly or indirectly with marriage, childbirth, child rearing, support for parents, and family heal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re has been a slight gain, first time in many years, in the importance of marriage in the public perception. Still, however, most of the Koreans who choose to marry late or not to marry at all do so largely because they have ??no stable job?? or ??cannot afford to marry and have a family.?? Second, having children for a growing number of Koreans has become a mere option, not a necessity.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for married women aged between 15 and 44 was 2.2, while the actual number of children they have on average was 1.6. In the same group, 76.6% responded that they would have no more children. T he rate of pregnancy wastage for the same group declined to 22.4% from 29.0% and 25.8% in 2006 and 2009, respectively. Of particular significance was that there was a marked reduction in the number of induced abortions. Fourth, the overall rate of breastfeeding declined somewhat from what it was in 2009, whereas the rate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the 1st, 2nd and 3rd weeks postpartum increased to 26.7%, 53.0% and 59.1%, respectively. Fifth, ??family health?? (44.4%) and ??family stability?? (41.7%) were the conditions that Koreans consider most important for their families. In comparison, such other factors as ??success??, ??power??, ??wealth,?? ??filial piety?? are considered much less important in keeping the family happy. Sixth, Korean families spends a monthly average amount of KW1.19 million on children, an increase from KW0.75 million, KW0.91 million and KW1.01 million in 2003, 2006 and 2009, respectively. Seventh, Korean men and women are found to have spent KW75.5 million and KW5.23 million on average on their marriage, an increase from KW73 million for men and KW32.6 million for women in 2009.
Table Of Contents
[제1부: 서론부]
제1장 서론 3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7
제3절 표본설계 개요 53
제4절 통계해석시 유의사항 60

제2장 조사완료 가구 및 가구주의 제 특성 65
제1절 조사완료 가구 및 가구주의 일반특성 65
제2절 조사완료가구의 경제적 특성 68
제3절 조사완료가구의 사회적 특성 84
제4절 시사점 91

[제2부: 결혼‧임신‧출산]
제3장 혼인가치관과 결혼‧가족에 대한 태도 97
제1절 개요 97
제2절 혼인가치관의 변화 102
제3절 결혼과 가족에 대한 태도 116
제4절 시사점 130

제4장 적정 결혼연령과 만혼‧비혼 원인에 대한 태도 137
제1절 개요 137
제2절 적정 결혼연령 140
제3절 본인 결혼연령의 적절성 146
제4절 만혼과 비혼의 원인에 대한 태도 157
제5절 시사점 187

제5장 자녀가치관과 출산행태의 변화 195
제1절 개요 195
제2절 자녀가치관의 변화 199
제3절 출산행태의 변화 231
제4절 출생아수 및 현존자녀수의 변화와 추가자녀 계획 235
제5절 시사점 263

제6장 임신 및 임신종결형태의 변화 269
제1절 개요 269
제2절 총 임신 및 임신종결형태의 변화 272
제3절 인공임신중절률의 변화 280
제4절 첫 번째와 마지막 인공임신중절의 특성 286
제5절 시사점 300

[제3부: 가족보건]
제7장 피임수용실태 303
제1절 개요 303
제2절 피임실천 실태 310
제3절 피임비실천 실태 335
제4절 임신노출상태 및 자녀희망여부별 피임실태 343
제5절 시사점 349

제8장 난임실태 355
제1절 개요 355
제2절 난임경험 및 난임진단 실태 359
제3절 난임 치료 실태와 지원정책 363
제4절 시사점 369

제9장 모자보건실태 373
제1절 개요 373
제2절 조사대상 출생아의 분포 377
제3절 산전관리 실태 379
제4절 분만 및 출생아 실태 384
제5절 산후관리 실태 398
제6절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실태 402
제7절 시사점 404

제10장 모유수유실태 409
제1절 개요 409
제2절 수유양상 411
제3절 모유수유에 대한 산전․산후 교육 실태 421
제4절 모유수유 장애요인 및 모유수유 정책욕구 427
제5절 영유아 보충식 도입시기 432
제6절 시사점 433

[제4부: 가족복지생활 및 자녀양육]
제11장 기혼여성의 취업실태 439
제1절 개요 439
제2절 기혼여성의 현 취업실태 446
제3절 결혼 전‧후의 취업실태 499
제4절 첫째아 출산 전‧후의 취업실태 509
제5절 막내아 출산 전‧후의 취업실태 519
제6절 막내아 초교입학 전‧후의 취업실태 528
제7절 시사점 539

제12장 가족의 역할 및 관계 실태 543
제1절 개요 543
제2절 가족의 역할 547
제3절 가족관계 592
제4절 시사점 652

제13장 동거 및 비동거 가족 지원 659
제1절 개요 659
제2절 비동거부모와의 접촉 및 상호 지원 664
제3절 동거부모와의 상호 지원 700
제4절 시사점 715

제14장 가족생활의 질 723
제1절 개요 723
제2절 가족 행복의 요건 726
제3절 가족생활 만족도 729
제4절 시사점 752

제15장 혼인실태와 가족주기의 변화 757
제1절 개요 757
제2절 혼인실태의 변화 767
제3절 가족주기의 변화 793
제4절 시사점 802

제16장 자녀양육 태도 및 책임한계와 양육비 지출 실태 809
제1절 개요 809
제2절 자녀양육 태도 및 책임한계 813
제3절 양육비 지출 실태 830
제4절 시사점 836

제17장 결혼비용 실태 841
제1절 개요 841
제2절 본인 및 자녀의 결혼비용 845
제3절 결혼비용의 부담수준 849
제4절 시사점 853

[제5부: 결론부]
제18장 출산 및 가족정책 욕구 857
제1절 개요 857
제2절 저출산 현상에 관한 태도 866
제3절 기혼가구의 출산정책 선호도 869
제4절 가족정책 욕구 894
제5절 시사점 907

제19장 정책제언 915
제1절 결혼‧임신‧출산 관련 정책제언 915
제2절 가족보건 관련 정책제언 917
제3절 가족복지생활 및 자녀양육 관련 정책제언 920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2-54
ISBN
978-89-6827-004-8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Cited 53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