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따른 방사능 피해 현황 ○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능 물질 확산 경로 ○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우리나라 식품안전에 미치는 영향 ○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따른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보호 대책
An earthquake of 9.0 magnitude struck off the eastern seashore of Japan in March 11, 2011. As a result, the Hukushima nuclear power plants located at the seashore were severly damaged. As a great amount of radioactive substances were emitted into the air and the sea, Korea was faced with the possibility that it would be contaminated by the radioactive substances coming across the Straits of Korea. This report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radioactive materials would reach the Korean peninsular along with ocean currents, wind and the import of food stuff from Japan. This report analyzes the health impact of radioactive substances, and conducts a survey to find out how much the korean people are worried about the diffusion of radioactive substances, and what they want the Korean government to do.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Koreans are so much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radioactive substance diffusion and they want reliable information on the results of detecting the radioactive matters. The report proposes the institutions should be operated separately between the utilization and the security of nuclear power including health protection.
Table Of Contents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우리나라에 대한 방사성 물질 확산 경로 및 확산 현황 제1절 대류에 의한 확산 경로 및 확산 현황 제2절 해류에 의한 확산 경로 및 확산 현황 제3절 농.림.수산물 및 식품 수입에 의한 확산
제3장 방사능 물질 확산이 국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제1절 방사선 노출량에 대한 기준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제2절 원자력 행정체계와 안전규제 현황 제3절 방사선 피폭에 대한 건강영향 평가
제4장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국민의 인식조사 결과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일본 원전사고에 대한 국민의 인식조사 결과
제5장 결론 및 향후 대책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환경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 제도와 외국의 사례 부록 2: 후쿠시마 원전내 방사선 수치 부록 3: 도쿄 대기중 방사선 수치 부록 4: 일본의 지역별 식품 중 방사성물질 검사 현황(2011년 3월 19일~5월 27일) 부록 5: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국민의 인식조사 설문지
Local ID
연구보고서 2011-48
ISBN
978-89-8187-761-3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Health care > Future disease ri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