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성과평가는 시행계획 추진실적에 대한 평가(1차평가)와 성과지표에 의한 평가(2차평가)로 구분하여 실시 ◈ 시행계획 추진실적에 대한 평가(1차평가)와 성과지표에 의한 평가(2차평가) 결과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성과평가 결과 제시 ◈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1-2015)」의 핵심정책 설정 ◈ 핵심정책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 ◈ 성과지표별로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11-2015) 기간동안 합리적 목표치 도출 ◈ 목표치와 연동한 각 성과지표별 객관적인 평가점수 기준 산정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제1절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핵심정책 및 성과지표 선정 제1절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구조 제2절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핵심정책 선정 제3절 핵심과제 성과지표 선정
제3장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핵심과제 성과목표 제1절 저출산부문 핵심 성과지표 1. 일과 가정의 양립 일상화 2. 결혼․출산․양육 부담 경감 3. 아동․청소년의 건전한 성장환경 조성 제2절 고령사회부문 핵심 성과지표 1.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대응체계 구축 2. 안정되고 활기찬 노후생활 보장 3. 고령친화적 사회환경 조성 제3절 성장동력 부문 핵심 성과지표 1. 잠재인력 활용기반 구축 및 인적자원 경쟁력 제고 2.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경제사회 제도개선 3. 고령친화산업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