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평가: 상담서비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Evaluating the family welfare service delivery -The counseling service networks-

제목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평가: 상담서비스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Evaluating the family welfare service delivery -The counseling service networks-
저자

고경환 ; 김용민 ; 강지원

발행연도
2008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기존의 가족복지서비스는 대상자별, 서비스별, 공공-민간기관별로 구분되어 공급 중심이고, 사전적인 예방 및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하였음. 이에 따라 사회재정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예산의 효율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사회재정사업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됨.
- 국민들의 다양한 복지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족복지서비스 공급기관의 운영평가를 실시하고 새로운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모형을 제안하고자 함.
□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행정 부처의 이원화와 동일 부처내 유사한 서비스의 제공, 낮은 만족도 등으로 인해 효율적인 전달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됨.
- 현행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는 보건복지가족부와 여성부의 전달체계를 통해 이뤄지고 있음. 보건복지가족부는 일반적인 가족의 문제에 대한 상담, 연계, 사례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통적으로 종합사회복지관은 저소득층을,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중산층을 주요 대상으로 함.
- 여성부는 특수한 욕구를 지닌 가족의 문제에 대한 상담, 연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담 문제의 유형에 따라 가정폭력상담소, 성폭력상담소, 통합상담소로 구분함. 이들 상담소는 일반적인 상담 서비스는 유사하나 전문화된 상담 서비스에는 차이가 있음.
□ 대안설정의 관점은 현 복지수요의 급증에 따른 공급기관의 계속적 확충 보다는 기 공급기관의 전문성과 연계성의 강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의 제고에 둠.

The current family welfare deliveries provide services separately with target
groups, administrative departments, and dividing public-private sector.
Therefore problems appear not only the duplication of single or similar
services provided, but also low satisfaction with services used. Accordingly
the improvement of family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s established.
Despite an increase of concerning the family subject, family welfare
delivery does not provide services in preventive and integrated perspective.
And despite a variety of complex and diverse system, the satisfaction of
user's is also low. For the appropriate response to the demand of people and
the efficient supply of service administrations, we evaluate the operation of
the family welfare service delivery and then propose alternative delivery
models.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family welfare services delivery we looked at
the service provide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t results in administrative
efficient agencies about counseling services that all agencies provide appears
only 3.9%. By region scale, efficient agencies appear more and more in the
megalopolis and metropolis to cities and town. By agencies type, efficient agencies appear domestic violence clinics 2.3%,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0.8%,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sexual assault clinics 0.4% each.
Secondly, individual provider's efficiencies are the most highest sexual assault
counseling clinics (47.9%) and follow by family support centers (42.5%),
integrated clinics (35.0%), domestic violence clinics (23.9%),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21.7%). By regional location of efficiency agencies vary.
Thirdl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well in regular staff and volunteer
numbers, expenditures of input variables, as in program and case management
numbers of output variables. In addition, it appears noticeably that the clinics
are significant with counseling,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with linking,
and th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with counseling and treatment. Fourth,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welfare service agencies using the
ANOVA, services differ in program and problem types. Finally, the need for
cooperation of services agencies and civil societies shows all the family
welfare services deliveries want to not only link the public sector to private
sector but also between the service providers with the temporary income
support, housing support, case management, etc.
In conclusion, we propose the two alternative models. Networking Family
Service Delivery System strengthens the links between the existing service
agencies to provide people with the appropriate service more efficiently. This
model facilitates the service as can be accessible through the various channels
(phone, cyber, visit), as be provided ongoing, comprehensive, and specialized
with users. Cities and towns, the lack or immaturity of the service providers,
causes the Integrated Family Service Model. It is required the existing
agencies to multi-functions, but subject supply agencies(eg. marriage and
family support center, elderly welfare service center, etc.) vary.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방법과 내용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논의
제2절 평가의 방법론 및 선행연구

제3장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주요쟁점
제1절 가족복지서비스의 개요
제2절 보건복지가족부의 전달 체계
제3절 여성부 가족복지서비스의 전달 체계
제4절 주요 쟁점과 평가 범위

제4장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평가
제1절 실태조사와 응답실적
제2절 운영평가

제5장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전달체계의 대안 모색
제1절 기본관점
제2절 대안모형

제6장 요약 및 제언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08-23-1-2
ISBN
978-89-8187-572-5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