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적투자 성과지표 개발 연구: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Investment Performance Indicators : Focusing on Higher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제목
사회적투자 성과지표 개발 연구: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Investment Performance Indicators : Focusing on Higher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저자

나원희(Na, Wonhee) ; 이아영(Lee, Ayoung) ; 황안나 ; 김진영 ; 송경호 ; 남수경

저자(타언어)
Na, Wonhee ; Lee, Ayoung ; Hwang, Anna ; Kim, JinYeong ; Song, Kyung-ho ; Nam, Sookyong
키워드
경제성 분석 ; 사회적투자 수익률 ; 사회적 가치 ; 학자금지원 정책
발행연도
202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학자금지원정책을 사회적투자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투입·산출 중심 평가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정책의 결과와 사회적 가치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단기 및 중·장기 성과지표를 체계화하였으며, 화폐화 가능한 대리지표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실증적 분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학자금지원정책은 단순히 교육비를 경감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생애소득의 증가, 건강 증진, 사회통합, 국가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장기적 편익을 창출하는 사회적투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성과지표 중심의 정책 평가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복지재정 지출에 있어 사회적투자 관점의 사회성과 측정 모델을 도입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사회적투자 개념과 분석 대상 15
제1절 사회적투자 개념 17
제2절 국내 학자금지원 정책 현황 21
제3절 해외 정책 동향 33
제4절 소결 55

제3장 성과분석 방법 59
제1절 복지사업의 경제성 평가 방법 61
제2절 사회적투자 수익률 분석 방법 71
제3절 사회적투자 수익률 분석 사례 74
제4절 소결 103

제4장 성과지표 개발 105
제1절 범위설정 및 기본가정 107
제2절 단기 및 중·장기 성과지표 115
제3절 성과지표의 화폐화 144
제4절 소결 150

제5장 성과지표 타당성 검토 153
제1절 전문가 조사 개요 155
제2절 전문가 조사 결과 158
제3절 소결 165

제6장 결론 169
제1절 요약 171
제2절 정책적 제언 173

참고문헌 175

부록 185
[부록 1]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 성과지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1차)』 185
[부록 2]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 성과지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2차)』 198

Abstract 21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5-10
ISBN
9791172520892
DOI
10.23060/kihasa.a.2025.10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