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적투자 성과지표 개발 연구: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Investment Performance Indicators : Focusing on Higher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나원희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ontributor.author황안나
dc.contributor.author김진영
dc.contributor.author송경호
dc.contributor.author남수경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5-04-30
dc.date.accessioned2025-07-28T00:40:59Z
dc.date.available2025-07-28T00:40:59Z
dc.date.issued2025
dc.identifier.isbn979117252089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8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자금지원정책을 사회적투자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투입·산출 중심 평가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정책의 결과와 사회적 가치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단기 및 중·장기 성과지표를 체계화하였으며, 화폐화 가능한 대리지표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실증적 분석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학자금지원정책은 단순히 교육비를 경감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생애소득의 증가, 건강 증진, 사회통합, 국가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장기적 편익을 창출하는 사회적투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성과지표 중심의 정책 평가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복지재정 지출에 있어 사회적투자 관점의 사회성과 측정 모델을 도입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reframe higher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from a social investment perspective and to develop performance indicators capable of evaluating the policy’s actual effectivenes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input-output based evaluation methods, the study establishes a systematic framework of short-, medium-, and long-term indicators that comprehensively capture policy outcomes and social value. Additionally, monetizable proxy indicators are presen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confirms that financial aid policy for higher education is not merely a mechanism to reduce the cost of education, but rather a form of social investment that generates long-term benefits—such as increased lifetime earnings, improved health outcomes, enhanced social cohesion, and broader national-level advantages.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policy evaluation framework by shifting toward outcome-based assessments and adopting a social investment approach to measuring social returns within welfare-related public expendit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사회적투자 개념과 분석 대상 15 제1절 사회적투자 개념 17 제2절 국내 학자금지원 정책 현황 21 제3절 해외 정책 동향 33 제4절 소결 55 제3장 성과분석 방법 59 제1절 복지사업의 경제성 평가 방법 61 제2절 사회적투자 수익률 분석 방법 71 제3절 사회적투자 수익률 분석 사례 74 제4절 소결 103 제4장 성과지표 개발 105 제1절 범위설정 및 기본가정 107 제2절 단기 및 중·장기 성과지표 115 제3절 성과지표의 화폐화 144 제4절 소결 150 제5장 성과지표 타당성 검토 153 제1절 전문가 조사 개요 155 제2절 전문가 조사 결과 158 제3절 소결 165 제6장 결론 169 제1절 요약 171 제2절 정책적 제언 173 참고문헌 175 부록 185 [부록 1]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 성과지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1차)』 185 [부록 2]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 성과지표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2차)』 198 Abstract 211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적투자 성과지표 개발 연구: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Investment Performance Indicators : Focusing on Higher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경제성 분석
dc.subject.keyword사회적투자 수익률
dc.subject.keyword사회적 가치
dc.subject.keyword학자금지원 정책
dc.subject.keywordEconomic Evaluation Cost-Benefit Analysis (CBA)
dc.subject.keyword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dc.subject.keywordSocial Value, Higher Education Financial Aid Polic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 Won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g, Ann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n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Kyung-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m, Sookyo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5.10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5-1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5-10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date.dateaccepted2025-07-28T00:40:59Z
dc.date.datesubmitted2025-07-28T00:40:5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13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14-00]사회적투자 성과지표 개발 연구 -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subject.kihasa사회보장재정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