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발전을 위해 세 가지 영역-표본 대표성, 조사 문항의 적절성, 조사 운영의 효율성-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패널의 표본 대표성은 인구 변화와 패널 탈락을 반영한 가중치 조정으로 대체로 유지되고 있으나, 초기 불안정성, 시계열 단절, 장기 가중치 산정의 잠재적 편향 등 한계가 드러났다. 조사 문항은 사회정책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며 소득보장 분야는 확대되었으나, 복지서비스 관련 문항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응답 빈도가 낮거나 분석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항은 정비가 필요하며, 복지서비스 영역에서는 조사 단위와 문항 구성의 개선이 제안되었다. 조사 운영은 인력 고령화, 신규 인력 확보의 어려움, 행정 부담 증가 등 지속 가능성에 한계가 있어, 국내외 사례 검토를 통한 장기적 운영 개선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현황 및 발전 방향 13 제1절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현황 15 제2절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쟁점 검토 29 제3절 소결 57
제3장 소득보장 조사 내용 현황 및 발전 방향 61 제1절 조사 항목 개편의 필요성 63 제2절 소득 관련 항목 64 제3절 부채, 이자, 재산 항목 89 제4절 생활비 항목 99 제5절 소결 109
제4장 사회서비스 조사 내용 현황 및 발전 방향 111 제1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검토 방향 113 제2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변화 및 현황 114 제3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쟁점 129 제4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발전 방향 137
제5장 패널 운영 국내외 사례 검토 141 제1절 국내 패널 운영 사례 143 제2절 해외 패널 운영 사례 151 제3절 패널 운영 효율화 방향 168
제6장 결론 및 제언 175 제1절 연구 결과 및 제언 177 제2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