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복지패널조사 발전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 Focusing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ontributor.author강신욱
dc.contributor.author이원진
dc.contributor.author오욱찬
dc.contributor.author신재동
dc.contributor.author이주미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5-03-31
dc.date.accessioned2025-05-26T06:41:54Z
dc.date.available2025-05-26T06:41:54Z
dc.date.issued2025
dc.identifier.isbn979117252081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505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발전을 위해 세 가지 영역-표본 대표성, 조사 문항의 적절성, 조사 운영의 효율성-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패널의 표본 대표성은 인구 변화와 패널 탈락을 반영한 가중치 조정으로 대체로 유지되고 있으나, 초기 불안정성, 시계열 단절, 장기 가중치 산정의 잠재적 편향 등 한계가 드러났다. 조사 문항은 사회정책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며 소득보장 분야는 확대되었으나, 복지서비스 관련 문항은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응답 빈도가 낮거나 분석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항은 정비가 필요하며, 복지서비스 영역에서는 조사 단위와 문항 구성의 개선이 제안되었다. 조사 운영은 인력 고령화, 신규 인력 확보의 어려움, 행정 부담 증가 등 지속 가능성에 한계가 있어, 국내외 사례 검토를 통한 장기적 운영 개선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cademic and policy research, but there is a need to review its achievements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in three areas: sample representativeness, appropriateness of survey items, and efficiency of survey operations. While representativeness is generally maintained, issues such as initial instability and potential bias remain. Survey items have adapted to policy changes, but welfare service questions need to be expanded and refined. Lastly, challenges in survey operation sustainability highlight the need for long-term improvement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현황 및 발전 방향 13 제1절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현황 15 제2절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쟁점 검토 29 제3절 소결 57 제3장 소득보장 조사 내용 현황 및 발전 방향 61 제1절 조사 항목 개편의 필요성 63 제2절 소득 관련 항목 64 제3절 부채, 이자, 재산 항목 89 제4절 생활비 항목 99 제5절 소결 109 제4장 사회서비스 조사 내용 현황 및 발전 방향 111 제1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검토 방향 113 제2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변화 및 현황 114 제3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쟁점 129 제4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발전 방향 137 제5장 패널 운영 국내외 사례 검토 141 제1절 국내 패널 운영 사례 143 제2절 해외 패널 운영 사례 151 제3절 패널 운영 효율화 방향 168 제6장 결론 및 제언 175 제1절 연구 결과 및 제언 177 제2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181 참고문헌 183 Abstract 189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복지패널조사 발전방향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 Focusing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한국복지패널
dc.subject.keyword표본 대표성
dc.subject.keyword설문문항
dc.subject.keyword패널 전담조직
dc.subject.keywordKoweps Sample representativeness
dc.subject.keywordsurvey questions
dc.subject.keywordWelfare Panel dedicated tea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oung, Eun 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Shin-W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n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Ukch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Jae-D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mi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5.02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5-0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5-02
dc.citation.date2025
dc.date.dateaccepted2025-05-26T06:41:54Z
dc.date.datesubmitted2025-05-26T06:41:54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08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09-00]한국복지패널조사 발전방향 연구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