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계층적 차이 = Parental Support in Young Adulthood: Dimensions of Support and Social Inequality

제목
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계층적 차이 = Parental Support in Young Adulthood: Dimensions of Support and Social Inequality
저자

최선영(Choi, Sunyoung) ; 곽윤경(Kwak, YoonKyung) ; 노현주 ; 양은정

저자(타언어)
Choi, Sunyoung ; Kwak, YoonKyung ; Noh, Hyunju ; 양은정
키워드
초기 성인기 ; 부모 지원 ; 청년과 계층 불평등 ; 세대 관계 ; 청년과 가족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자녀와 이들에 대한 부모의 지원, 지원에 대한 인식, 부모 자녀 관계에 대한 가치관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부모의 역할 범위가 확장되고 자녀의 초기 성인기로까지 부모의 역할이 확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계층적 지위에 따라 지원 수준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도 중요한 발견이다. 계층적 지위가 높은 가정일수록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연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과 조언 등의 지원 등으로 지원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5
제2절 기존 논의 9
제3절 연구방법 13

제2장 초기 성인기와 부모 지원의 배경 29
제1절 교육, 취업, 주거의 인구사회적 변화 31
제2절 교육제도와 가족 48
제3절 청년정책의 개입 54

제3장 초기 성인기에 대한 부모 지원의 다차원성 67
제1절 초기 성인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일상적 지원 69
제2절 자녀의 성인 이행과 부모의 전략적 지원 101
제3절 부모 지원의 다차원성과 의미 115

제4장 이상적 세대관계와 현실적 지원 관계 127
제1절 부모역할에 대한 가치관과 의식 129
제2절 부모 지원 필요성과 가치 142
제3절 부모 역할 확대에 대한 부모세대의 인식 152

제5장 부모 지원의 계층간 격차 159
제1절 주관적 계층 범주의 특징 161
제2절 부모 지원의 다차원적 격차 165
제3절 기대와 전망의 계층화 173

제6장 결론 179
제1절 연구의 결론 181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85

참고문헌 191

부 록 197
[부록 1] 부모 대상 조사표 197
[부록 2] 자녀 대상 조사표 216

Abstract 23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27
ISBN
9791172520441
DOI
10.23060/kihasa.a.2024.27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