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계층적 차이 = Parental Support in Young Adulthood: Dimensions of Support and Social Inequa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선영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contributor.author노현주
dc.contributor.author양은정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3-31T07:15:38Z
dc.date.available2025-03-31T07:15:38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44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2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자녀와 이들에 대한 부모의 지원, 지원에 대한 인식, 부모 자녀 관계에 대한 가치관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부모의 역할 범위가 확장되고 자녀의 초기 성인기로까지 부모의 역할이 확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계층적 지위에 따라 지원 수준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도 중요한 발견이다. 계층적 지위가 높은 가정일수록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연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과 조언 등의 지원 등으로 지원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support during young adulthood. It reveals that parental support extends beyond financial assistance to include emotional support, advice, and involvement, with strong emotional bonds facilitating greater instrumental support. Parents and children recognize the value of parental support, not as a matter of moral obligation but a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The study also highlights class-based disparities in parental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5 제2절 기존 논의 9 제3절 연구방법 13 제2장 초기 성인기와 부모 지원의 배경 29 제1절 교육, 취업, 주거의 인구사회적 변화 31 제2절 교육제도와 가족 48 제3절 청년정책의 개입 54 제3장 초기 성인기에 대한 부모 지원의 다차원성 67 제1절 초기 성인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일상적 지원 69 제2절 자녀의 성인 이행과 부모의 전략적 지원 101 제3절 부모 지원의 다차원성과 의미 115 제4장 이상적 세대관계와 현실적 지원 관계 127 제1절 부모역할에 대한 가치관과 의식 129 제2절 부모 지원 필요성과 가치 142 제3절 부모 역할 확대에 대한 부모세대의 인식 152 제5장 부모 지원의 계층간 격차 159 제1절 주관적 계층 범주의 특징 161 제2절 부모 지원의 다차원적 격차 165 제3절 기대와 전망의 계층화 173 제6장 결론 179 제1절 연구의 결론 181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85 참고문헌 191 부 록 197 [부록 1] 부모 대상 조사표 197 [부록 2] 자녀 대상 조사표 216 Abstract 2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계층적 차이
dc.title.alternativeParental Support in Young Adulthood: Dimensions of Support and Social Inequali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초기 성인기
dc.subject.keyword부모 지원
dc.subject.keyword청년과 계층 불평등
dc.subject.keyword세대 관계
dc.subject.keyword청년과 가족
dc.subject.keywordyoung adulthood
dc.subject.keywordparental support
dc.subject.keywordyouth and inequality
dc.subject.keyword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dc.subject.keywordtransition to adulthoo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un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ak, Yoo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oh, Hyunj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양은정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27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2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27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3-31T07:15:38Z
dc.date.datesubmitted2025-03-31T07:15:3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11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12-00]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계층적 차이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가족변화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