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OECD가 제시하는 아동친화동네의 개념과 모니터링 지표를 기반으로 국내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국제적인 비교를 수행하고 한국의 위치를 확인하여 아동친화적인 동네 구현을 위한 OECD 이니셔티브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 가용한 자료원을 소개하고 국가 간 비교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내 자료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OECD 주요 회원 국가 간 비교 그리고 국내 지자체 간 비교를 통해 아동이 직면한 생활 환경을 개선하여 국내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과 지역 인구 감소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아동친화동네 구축을 위한 정책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아동친화적인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아동친화적인 동네 구현을 위한 지역 자료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아동친화동네 지자체 시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넷째, OECD 아동친화동네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국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공간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자료 수집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OECD 아동친화동네의 개념과 체계 13 제1절 서론 15 제2절 OECD 아동친화동네의 개념 17 제3절 OECD 아동친화동네의 모니터링 체계 46 제4절 UNICEF 아동친화도시 소개 74 제5절 소결 86
제3장 OECD 아동친화동네 국제 비교 분석 89 제1절 서론 91 제2절 OECD 지역 데이터 베이스와 공간 구획 단위 설정 92 제3절 OECD 아동친화동네 국제 현황 비교 분석 98 제4절 소결 125
제4장 OECD 아동친화동네 한국 자료 현황 분석 129 제1절 서론 131 제2절 OECD 아동친화동네 국내 자료 현황 134 제3절 OECD 아동친화동네 국내 현황 비교 분석 157 제4절 소결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