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OECD 지표를 활용한 「아동친화동네」 국제 비교 연구 =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OECD 「Child-Friendly Neighbourhood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윤정
dc.contributor.author장인수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contributor.author김현진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3-27T01:50:31Z
dc.date.available2025-03-27T01:50:31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56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1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OECD가 제시하는 아동친화동네의 개념과 모니터링 지표를 기반으로 국내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국제적인 비교를 수행하고 한국의 위치를 확인하여 아동친화적인 동네 구현을 위한 OECD 이니셔티브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 가용한 자료원을 소개하고 국가 간 비교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내 자료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며, OECD 주요 회원 국가 간 비교 그리고 국내 지자체 간 비교를 통해 아동이 직면한 생활 환경을 개선하여 국내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과 지역 인구 감소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아동친화동네 구축을 위한 정책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아동친화적인 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아동친화적인 동네 구현을 위한 지역 자료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아동친화동네 지자체 시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넷째, OECD 아동친화동네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국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공간 지리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자료 수집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OECD initiative for creating child-friendly neighbourhoods by collecting domestic data based on the concept and monitoring indicators of child-friendly neighbourhoods. It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faced by children and address the serious issues Korea faces concerning low birth rates and regional population decline. As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recommends: creating a child-friendly environment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developing local data to support the creation of child-friendly neighbourhoods, promoting the OECD Child-Friendly Neighbourhood pilot project, foster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establish an OECD Child-Friendly Neighbourhood monitoring system, and using spati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data colle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OECD 아동친화동네의 개념과 체계 13 제1절 서론 15 제2절 OECD 아동친화동네의 개념 17 제3절 OECD 아동친화동네의 모니터링 체계 46 제4절 UNICEF 아동친화도시 소개 74 제5절 소결 86 제3장 OECD 아동친화동네 국제 비교 분석 89 제1절 서론 91 제2절 OECD 지역 데이터 베이스와 공간 구획 단위 설정 92 제3절 OECD 아동친화동네 국제 현황 비교 분석 98 제4절 소결 125 제4장 OECD 아동친화동네 한국 자료 현황 분석 129 제1절 서론 131 제2절 OECD 아동친화동네 국내 자료 현황 134 제3절 OECD 아동친화동네 국내 현황 비교 분석 157 제4절 소결 209 제5장 결론 211 제1절 연구 내용 종합 213 제2절 정책 과제 216 참고문헌 223 부록 253 〔부록 1〕 OECD 아동 웰빙 체계 및 데이터 현황 253 Abstract 2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8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OECD 지표를 활용한 「아동친화동네」 국제 비교 연구
dc.title.alternative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OECD 「Child-Friendly Neighbourhood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아동
dc.subject.keyword웰빙
dc.subject.keyword지역
dc.subject.keyword저출산
dc.subject.keyword인구 변동
dc.subject.keyword아동친화도시
dc.subject.keywordChild
dc.subject.keywordWell-being
dc.subject.keywordNeighbourhood
dc.subject.keywordLow fertility
dc.subject.keywordPopulation Change
dc.subject.keywordChild-Friendly Cit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on-J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Ins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Ji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unji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39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3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39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3-27T01:50:31Z
dc.date.datesubmitted2025-03-27T01:50:31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18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19-00]OECD 지표를 활용한 「Child-Friendly Neighbourhoods」국제 비교 연구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