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복지전달체계 혁신을 위한 대안적 고찰 - 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Alternatives to Innovate the Welfar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Improving the Policies to Reach the Vulnerable Populations

제목
복지전달체계 혁신을 위한 대안적 고찰 - 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Alternatives to Innovate the Welfar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Improving the Policies to Reach the Vulnerable Populations
저자

함영진(Ham, Youngjin) ; 이현주(Lee, Hyonjoo) ; 어유경(Eo, Yugyeong) ; 김가희(Kim, Ka-Hee) ; 박성준(Park, Seongjun) ; 조용찬 ; 이영글 ; 문용필 ; 오민수

저자(타언어)
Ham, Youngjin ; Lee, Hyonjoo ; Eo, Yugyeong ; Kim, Ka-Hee ; Park, Seongjun ; Cho, Yongchan ; Lee, Yeonggeul ; Moon, Yongpil ; Oh, Minsu
키워드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 취약계층지원 ; 지역사회중심 사회보장체계 ; 제도확충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복지제도를 확충하여 지원하는 것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최상의 정책이다. 정부는 그간 복지 사각지대 관련 사건·사고를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대안을 추진하였지만, 현장에서는 ‘발굴’의 어려움과 ‘지원’의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 이 연구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굴’에 집중하기보다는 ‘지원’을 위한 제도확충, 급여연계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아울러 전국단위 복지급여 신청체계, 지역단위 민관협력 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1
요약 5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목적 및 배경 1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제2장 취약계층 발굴 관련 기존 문헌 및 정책자료 검토 21
제1절 취약계층의 이해 23
제2절 발굴정책 관련 이론 및 정책자료 검토 31
제3절 취약계층 사고를 통해 본 위기가구 특성 52

제3장 취약계층 발굴 실태 분석 77
제1절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FGI 분석 79
제2절 복지 사각지대 발굴체계 관련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104
제3절 주요 조사 결과 113

제4장 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방안 133
제1절 들어가며 135
제2절 복지 사각지대 발굴정책 패러다임 변화: 발굴정책에서 제도지원 정책으로 137
제3절 급여 연계 및 신청 체계 개편 153
제4절 은둔·고립 대상자의 자발적 신청 강화 전략 165
제5절 지역 중심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체 개선 177

제5장 결론 185
제1절 연구 종합 187
제2절 정책 방향 제언 193

참고문헌 201
부록 209
〔부록 1〕 형태소 분석-다빈도 단어 및 상대빈도 단어 20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 2023-01
ISBN
9788968278662
DOI
10.23060/kihasa.b.2023.01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