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전달체계 혁신을 위한 대안적 고찰 - 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Alternatives to Innovate the Welfar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Improving the Policies to Reach the Vulnerable Population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함영진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주 |
dc.contributor.author | 어유경 |
dc.contributor.author | 김가희 |
dc.contributor.author | 박성준 |
dc.contributor.author | 조용찬 |
dc.contributor.author | 이영글 |
dc.contributor.author | 문용필 |
dc.contributor.author | 오민수 |
dc.coverage.temporal | 2022-10-01 - 2023-02-28 |
dc.date.accessioned | 2023-06-07T05:45:49Z |
dc.date.available | 2023-06-07T05:45:49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662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646 |
dc.description.abstract | 복지제도를 확충하여 지원하는 것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최상의 정책이다. 정부는 그간 복지 사각지대 관련 사건·사고를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대안을 추진하였지만, 현장에서는 ‘발굴’의 어려움과 ‘지원’의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 이 연구는 복지 사각지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굴’에 집중하기보다는 ‘지원’을 위한 제도확충, 급여연계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아울러 전국단위 복지급여 신청체계, 지역단위 민관협력 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Expansion of welfare benefits supporting vulnerable and underserved groups is the best policy to prevent welfare blind spots. The government has derived various policy alternatives to avoid accidents related to welfare blind spots. Still, it is simultaneously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finding' and 'supporting' vulnerable and underserved populations. To respond to the welfare blind spot problem, this study suggests expanding the system for 'supporting' and linking welfare benefits rather than focusing on 'findi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5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목적 및 배경 1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제2장 취약계층 발굴 관련 기존 문헌 및 정책자료 검토 21 제1절 취약계층의 이해 23 제2절 발굴정책 관련 이론 및 정책자료 검토 31 제3절 취약계층 사고를 통해 본 위기가구 특성 52 제3장 취약계층 발굴 실태 분석 77 제1절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FGI 분석 79 제2절 복지 사각지대 발굴체계 관련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104 제3절 주요 조사 결과 113 제4장 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방안 133 제1절 들어가며 135 제2절 복지 사각지대 발굴정책 패러다임 변화: 발굴정책에서 제도지원 정책으로 137 제3절 급여 연계 및 신청 체계 개편 153 제4절 은둔·고립 대상자의 자발적 신청 강화 전략 165 제5절 지역 중심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체 개선 177 제5장 결론 185 제1절 연구 종합 187 제2절 정책 방향 제언 193 참고문헌 201 부록 209 〔부록 1〕 형태소 분석-다빈도 단어 및 상대빈도 단어 209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3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복지전달체계 혁신을 위한 대안적 고찰 - 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A Research on Alternatives to Innovate the Welfare Delivery System: Focusing on Improving the Policies to Reach the Vulnerable Population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
dc.subject.keyword | 취약계층지원 |
dc.subject.keyword | 지역사회중심 사회보장체계 |
dc.subject.keyword | 제도확충 |
dc.subject.keyword | Welfare Blind Spot Discovery System |
dc.subject.keyword | Supporting Vulnerable and underserved Population |
dc.subject.keyword | Expansion of Welfare Benefits |
dc.subject.keyword | Community-centered Social Safety Net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m, Young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Hyonj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Eo, Yugyeo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a-He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eongj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 Yongcha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Yeonggeu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oon, Yongpi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Oh, Minsu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b.2023.01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수시) 2023-01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occasionally) 2023-01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3-06-07T05:45:49Z |
dc.date.datesubmitted | 2023-06-07T05:45:49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시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229_1_1 |
dc.type.project | 수시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시22-001-05]복지전달체계 혁신을 위한 대안적 고찰-취약계층 발굴정책 개선을 중심으로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