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인구 고령화의 인구학적 요인 분석 = Demographic Components of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우해봉
dc.date.accessioned2023-04-11T04:51:41Z
dc.date.available2023-04-11T04:51:41Z
dc.date.issued2023-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397
dc.description.abstract인구 고령화는 지난 20세기 후반부 이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인구학적 이슈이다. 한국 사회에서 어떤 인구학적 요인이 인구 고령화를 주도하며, 그 양상은 어떠한가를 이해하는 것은 인구변동의 파급 효과와 대응의 측면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안정인구 모형, 대안적 가정에 기초한 인구 시뮬레이션, 평균 연령 변화의 인구변동 요인별 기여도 분해 방법을 사용하여 197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고령화의 주된 인구학적 요인과 전개 양상 그리고 인구 고령화의 미래에 대해 살펴보았다. 접근 방법에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분석 결과는 공통적으로 과거 50여 년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인구 고령화에서 출산율 감소가 주된 요인이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분석 결과는 초저출산 현상의 장기화 국면 속에서 출산력 변동의 폭이 줄어들고 고령기 중심으로 사망률이 개선됨으로써 최근 들어 인구 고령화에서 사망력 변동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향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될 인구 고령화에서 고령기 사망률 감소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개연성이 높음을 고려할 때 근로생애 연장 등 제도적 조정의 중요성이 제기되며, 이를 위해서는 단순한 생존 기간 연장을 넘어 고령층의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contribution of demographic components such as fertility and mortality to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from 1970 to 2070.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sources of population aging, this study used three approaches: (1) stable population models, (2)population simulation models comparing actual outcomes with counterfactual population projections, and (3) the decomposition of the rate of change in mean population age into its demographic compon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cross different methodologies, fertility decline was the main driver of population aging over the past 50 years. However, the effect of mortality change has increasingly bigger influence and is likely to have a major effect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Given that mortality plays a major role in future population aging, institutional arrangements such as the extended retirement need to be put in place to adapt our life cycle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Furthermore, comprehensive health policies covering the entire life cycle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health status of older people in the aging society.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인구 고령화의 인구학적 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Demographic Components of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인구 고령화
dc.subject.keyword출산력
dc.subject.keyword사망력
dc.subject.keyword안정인구
dc.subject.keyword인구추계
dc.subject.keywordPopulation Aging
dc.subject.keywordFertility
dc.subject.keywordMortality
dc.subject.keywordStable Population
dc.subject.keywordPopulation Projection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o, Haebong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3.43.1.50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3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startPage50
dc.citation.endPage6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3권 제1호, pp.50-6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3 No.1, pp.50-68
dc.date.dateaccepted2023-04-11T04:51:41Z
dc.date.datesubmitted2023-04-11T04:51:41Z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