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 Gaps in working-age social risk experience and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제목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 Gaps in working-age social risk experience and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저자

김현경(Kim, Hyeon-kyeong) ; 이아영(Lee, Ayoung) ; 함선유(Ham, Sunyu) ; 이병재(Ham, Sunyu) ; 정성미 ; 양정승

저자(타언어)
Kim, Hyeon-kyeong ; Lee, Ayoung ; Ham, Sunyu ; Lee, Byeongjae ; Jung, Sungmi ; Yang, Jung-Seung
키워드
코로나19 ; 고용취약성 ; 재택근무 ; 유급휴가 ; 자녀돌봄 ; 한국노동패널
발행연도
2022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번 연구는 코로나19가 근로연령층의 노동시장 위험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 소비, 정책효과의 차이를 한국노동패널조사, 지역별고용조사, 가계동향조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비필수직,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직종, 대면접촉도가 높은 직종은 코로나19 이후 고용이 크게 줄었다. 전염병으로 나타나는 고용 취약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녀가 있는 여성은 육아 부담으로 직장을 그만두거나 유급휴가 및 임시휴직을 통해 노동력 공급을 줄일 위험이 더 크다. 전염병 발생 시 사회적 돌봄 체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방역 조치로 피해를 입은 업종의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넷째, 유연한 근무 형태는 실직 위험에 대한 완충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정부는 선ㅁ제적으로 법적·제도적 환경을 준비해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내용 14

제2장 코로나19 영향 지수 17
제1절 들어가며 19
제2절 코로나19의 수요 충격 20
제3절 재택가능성 지수 29

제3장 코로나19와 고용취약성 55
제1절 들어가며 57
제2절 분석 방법 61
제3절 분석결과 65
제4절 소결 94

제4장 코로나19와 노동시장 위험 99
제1절 들어가며 101
제2절 분석 방법 103
제3절 분석결과 107
제4절 소결 126

제5장 코로나19와 소득·소비 변화 131
제1절 들어가며 133
제2절 분석방법 137
제3절 분석결과 141
제4절 소결 175

제6장 코로나19로 인한 가구경제활동 변화와 정책 대응 179
제1절 서론 181
제2절 분석 방법 182
제3절 분석 결과 185
제4절 소결 2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09
제1절 요약 211
제2절 정책적 제언 214

참고문헌 219
부 록 22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2-49
ISBN
9788968279133
DOI
10.23060/kihasa.a.2022.49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