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 Gaps in working-age social risk experience and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ontributor.author함선유
dc.contributor.author이병재
dc.contributor.author정성미
dc.contributor.author양정승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29T01:00:59Z
dc.date.available2023-03-29T01:00:59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13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322
dc.description.abstract이번 연구는 코로나19가 근로연령층의 노동시장 위험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 소비, 정책효과의 차이를 한국노동패널조사, 지역별고용조사, 가계동향조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비필수직, 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직종, 대면접촉도가 높은 직종은 코로나19 이후 고용이 크게 줄었다. 전염병으로 나타나는 고용 취약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녀가 있는 여성은 육아 부담으로 직장을 그만두거나 유급휴가 및 임시휴직을 통해 노동력 공급을 줄일 위험이 더 크다. 전염병 발생 시 사회적 돌봄 체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방역 조치로 피해를 입은 업종의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넷째, 유연한 근무 형태는 실직 위험에 대한 완충장치가 될 수 있으므로 정부는 선ㅁ제적으로 법적·제도적 환경을 준비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labor market risk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and the differences in income, consumption, and policy effects using the Korean Labor Panel Survey, the Regional Employment Survey, and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n-essential jobs, jobs that can’t work from home, and face-to-face jobs have experienced a large decline in employment since COVID-19.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criteria for employment vulnerability due to the epidemic. Second, women with children are at greater risk of quitting jobs or reducing labor supply through paid leave and furloughs due to childcare burde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care system during epidemics. Third, there is a need for a proactive government response to mitigate economic shocks of sectors affected by government quarantine measures. Fourth, flexible work options can be a buffer against the risk of job loss, so governments can proactively prepar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내용 14 제2장 코로나19 영향 지수 17 제1절 들어가며 19 제2절 코로나19의 수요 충격 20 제3절 재택가능성 지수 29 제3장 코로나19와 고용취약성 55 제1절 들어가며 57 제2절 분석 방법 61 제3절 분석결과 65 제4절 소결 94 제4장 코로나19와 노동시장 위험 99 제1절 들어가며 101 제2절 분석 방법 103 제3절 분석결과 107 제4절 소결 126 제5장 코로나19와 소득·소비 변화 131 제1절 들어가며 133 제2절 분석방법 137 제3절 분석결과 141 제4절 소결 175 제6장 코로나19로 인한 가구경제활동 변화와 정책 대응 179 제1절 서론 181 제2절 분석 방법 182 제3절 분석 결과 185 제4절 소결 2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09 제1절 요약 211 제2절 정책적 제언 214 참고문헌 219 부 록 2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5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dc.title.alternativeGaps in working-age social risk experience and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코로나19
dc.subject.keyword고용취약성
dc.subject.keyword재택근무
dc.subject.keyword유급휴가
dc.subject.keyword자녀돌봄
dc.subject.keyword한국노동패널
dc.subject.keywordCOVID-19
dc.subject.keywordemployment vulnerability
dc.subject.keywordtelework, furloughs
dc.subject.keywordchild care
dc.subject.keywordKorean Labor Panel Surve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eon-k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m, Sun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Byeongj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Sung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ang, Jung-Se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49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4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49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29T01:00:59Z
dc.date.datesubmitted2023-03-29T01:00:59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6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09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2-007-00]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