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족양립정책이 여성의 일-가족 양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여성 근로소득에 대한 정책의 직․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 How do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ffect Women’s Work-family Reconciliatio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Women’s Labor Incom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류연규 |
dc.contributor.author | 백승호 |
dc.date.accessioned | 2013-04-12T04:50:05Z |
dc.date.available | 2013-04-12T04:50:05Z |
dc.date.issued | 2013-03-0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9942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이 여성의 일-가족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 요소가 일-가족양립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별히 근로소득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층적 자료(Luxembourg Income Study)와 다층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일-가족양립정책은 0~2세 보육서비스 이용률, 3~5세 보육서비스 이용률, 실질육아휴직급여기간, 파트타임근로비율, 평균주간 근로시간이었으며, 이 정책들이 25~45세 여성의 근로소득에 미치는 직접적·간접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족양립정책 중에서도 0~2세 보육서비스 이용률, 파트타임 근로비율, (낮은 수준의) 근로시간 등이 여성의 근로소득을 향상시키는 직접적 효과가 있었으며, 이 중 0~2세 보육서비스 이용률은 자녀 돌봄 부담이 근로소득을 낮추는 영향을 완화시켜 주는 간접적 효과도 있었다. 실질육아휴직급여기간 역시 자녀수가 근로소득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간접적 효과가 있었으나, 제도 자체가 여성 근로소득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3~5세 보육서비스 이용률은 여성의 근로소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간접적 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노동시간정책에 해당하는 파트타임근로비율, 주간근로시간이 여성 근로소득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일가족양립정책 중 노동시간정책의 활용이 일가족양립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0~2세 보육서비스가 일가족양립을 최우선의 목표로 양질의 서비스를 보다 많은 취업부모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적정 수준의 육아휴직급여 소득대체율과 육아휴직기간이 자녀 돌봄부담으로 인한 근로소득 감소를 완화시켜 줄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도 제안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f the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ffect women’s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how they affect women’s labor income in detail using multi-level data (Luxembourg Income Study) with multi-level model.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re enrolment rate of children not yet three years of age in formal child care, enrolment rate of children three to five years of age in formal child care, parental leave FTE paid, part-time employment rate, and average working hour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5-45 year old working women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ir yearly labor income (logged). The analysis results are enrolment rate of 0-2 year-old children has 1) a direct effect on the women’s labor income and 2) indirect effect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 of care burden on the women’s labor income. However, parental leave FTE paid has only an indirect effect and enrolment rate of 3-5 year-old children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Part-time employment rate and average working hours affect women’s labor income but don’t have any indirect effec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hild care service for 0-2 year-old children should aim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working parents and parental benefit should increase to an optimum level. In addition, work-life balance policies on working time(shorter working hours and flexi-time) are effectiv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변수, 분석자료,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
dc.format.extent | 4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일-가족양립정책이 여성의 일-가족 양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여성 근로소득에 대한 정책의 직․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How do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ffect Women’s Work-family Reconciliatio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Women’s Labor Incom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일-가족양립정책 |
dc.subject.keyword | 여성 근로소득 |
dc.subject.keyword | 다층모형 |
dc.subject.keyword | 조절효과 |
dc.subject.keyword | 비교연구 |
dc.subject.keyword | Work-family Balance Policy |
dc.subject.keyword | Women’s Labor Income |
dc.subject.keyword | Multi-level Model |
dc.subject.keyword | Direct and Indirect Effect |
dc.subject.keyword | Comparative Study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33 |
dc.citation.number | 1 |
dc.citation.startPage | 122 |
dc.citation.endPage | 161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1호, pp.122-161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1, pp.122-161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