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건강증진서비스이용에 대한 개인의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 분석 = Social Capital and its Impact on Health Ptomoting Behavior

제목
건강증진서비스이용에 대한 개인의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 분석 = Social Capital and its Impact on Health Ptomoting Behavior
저자

최은진 ; 유승현 ; 손창균 ; 오영인 ; 여지영

키워드
healthy aging ; social capital
발행연도
2012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국민건강증진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비자 측면에서 건강행동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을 연구하여 건강증진서비스의 정책개선에 활용
○ 첫째, 개인의 건강증진서비스 활용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을 분석하며 사회 자본과 사회환경적 요인 연구
○ 둘째, 개인의 건강증진 관련 성과를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회환경적 정책전략 개발.
○ 연구내용
-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문헌고찰
- 개인의 건강신념이 건강증진서비스이용에 주는 영향에 대한 분석
- 개인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생활실천요인에 주는 영향에 대한 분석
- 50대와 60대 서울시민의 건강증진 인식 분석

As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in Korea, it has been expected that people would live more days with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Longevity impose serious complications on eldercare costs. The onset of chronic illness which result in disabilities suffered by many older adults can be prevented or delayed if they adhere to health promotion guidelines. This study proposes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and cognitive barriers to health behavior among Korean citiz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health perceptions, health behavior, and social capital in this regard. Our final research aim is to construct overall and systematic measures of successful ageing.
We posit that lay perceptions which are reinforced by social network members bay to a large extent cause attitudinal barriers to such health promoting behaviors. Such barriers in include health beliefs on preventive behaviors such as health screening, and social variables. We focus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s on health and well-being.
We conducted a face to face interview survey of 1,203 individuals aged between 50 and 69 living in Seoul. The survey was approved by the IRB in June and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in 2012.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bout one third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ey face barrier when they go for a health screening. About 60% of the respondents have some social network with people of selected occupation. The occupations were based on the Treiman's Standard International Occupation Prestige Scale(SIOPS), Ganzeboom et al's International Scoio-Economic Index of Occupational Status(ISEI). Self-efficacy of getting regular health screen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pational prestige scores, successful ag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It is suggested that government may incorporate and support informal social network in health promotion policy. Further research needs to get empirical evidence of social capital and healthy aging of the population.
목차
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3절 기대효과
제2장 건강생활실천정책 관련 사회적 영향요인 고찰
제1절 건강생활실천정책에서 사회적 영향요인의 중요성
제2절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의 해석과 적용
제3절 소결
제3장 50‧60대 성인의 건강신념
제1절 건강관련 일반적 요인
제2절 건강신념과 관련요인
제3절 소결
제4장 50․60대 성인의 사회적 자본
제1절 직업지위 지수의 영향
제2절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원
제3절 소결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2-49-4
ISBN
978-89-8187-913-6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